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글로벌 가계부채 규모 '임계치' 도달 …금융시장 불안 가중


입력 2018.03.24 06:00 수정 2018.03.25 09:17        이미경 기자

글로벌 부채, 작년 3분기 말 기준 233조 달러 기록

기업과 가계부문 부채, 신흥국 중심으로 높은 증가

2018년 1월 기준.ⓒIIF 2018년 1월 기준.ⓒIIF

한국의 가계 빚이 1450조를 넘어서며 국내 경제를 위협하는 악재요인으로 급부상한 가운데 글로벌 가계부채도 위험수위에 올라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글로벌 국가들도 대부분 저금리를 통한 양적완화를 장기화하면서 글로벌 부채는 큰 폭으로 증가한 상태다. 최근 미국을 중심으로 주요국의 통화정책 정상화가 본격화되는 가운데 과도하게 늘어난 가계부채가 금융불안 요인으로 나타날 수 있다는 지적이 동시에 나오고 있다.

금융부문 부채는 비교적 전반적으로 안정세를 보였지만 정부와 기업, 가계 등 비금융부문의 부채는 지속적으로 증가세를 나타냈다.

25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글로벌 부채는 지난해 3분기 말 기준으로 233조 달러를 기록했다. 금융위기 이후에 10년간 71조 달러가 증가했고 국내총생산(GDP) 대비 비율도 318%로 과거 금융위기가 발생한 2007년 3분기 기준보다 40%포인트 증가했다.

이 가운데 정부부문 부채는 선진국을 중심으로 늘었고, 기업과 가계부문 부채는 신흥국을 중심으로 높은 증가세를 보였다.

특히 정부부문의 부채는 2007년 이후 선진국을 중심으로 크게 확대됐는데 선진국의 경우 종전 71조에서 110조원 규모로 부채가 급증했다.

다만 기업부문의 부채는 신흥국을 중심으로 증가세가 확대됐는데 신흥국은 기존 64조에서 96조로 부채가 크게 늘어났다. 이는 2010년 이후 브라질과 인도, 터키 등을 중심으로 기업의 채무상환능력을 나타내는 이자보상비율이 1미만을 기록한 기업이 크게 증가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미국은 저금리 기조가 지속됐지만 부채 증가로 인한 부채와 자본 비율 상승 등으로 이자보상비율이 큰 폭으로 하락했다. 소규모 기업은 비율이 0에 가까워지면서 부채 확대에 대한 우려가 더욱 커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권도근 국제금융센터 연구원은 "각 부문의 부채상환 능력을 나타내는 부채와 재정수입 비율, 이자보상비율 등이 상당폭 수준까지 악화됐다"며 "선진국 중에는 영국과 일본의 증가폭이 컸고, 신흥국 중에는 브라질과 멕시코가 컸다"고 설명했다.

글로벌 가계부채는 금융위기 이후 신흥국을 중심으로 증가세를 나타냈다는 분석이다. 2007년 이후 신흥국 가계부채는 35% 정도 증가세가 지속됐다. 중국이 27% 증가세를 보였고 태국과 한국이 각각 24%, 23% 정도 증가세가 지속됐다. 선진국 가계부채의 경우 비교적 안정적이지만 노르웨이나 캐나다는 각각 29%, 24% 정도 증가해 신흥국 평균을 상회하기도 했다.

기업부채와 가계부채의 합계인 민간신용도 금융위기 이후에 증가세가 뚜렷했다. 홍콩과 프랑스, 터키는 기업부채가 주요 증가요인으로 작용했다면 중국, 스위스, 한국은 가계부채가 주요 증가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이어 권 연구원은 "주요국의 금리인상과 유동성 축소로 인한 차입여건 악화가 레버리지 비율이 높은 신흥국 기업과 가계의 채무불행으로 이어지면서 금융시장이 불안해질 가능성에 유의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이미경 기자 (esit917@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미경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