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주택시장 '냉·온탕'…청약과열 vs. 할인분양


입력 2018.03.20 06:00 수정 2018.03.20 15:57        권이상 기자

강남에서 새로 문을 연 견본주택에는 10만여명의 구름인파 모여

지방은 할인분양에도 1년 넘게 미분양 단지인 곳도 많아

지난 16일 견본주택을 개관한 ‘디에이치자이 개포’와 ‘논현 아이파크’에 주말 동안 총 7만여명의 방문객이 다녀가며 청약경쟁률 과열을 예고했다. 사진은 디에이치자이 개포 견본주택 모습. ⓒ원나래 기자 지난 16일 견본주택을 개관한 ‘디에이치자이 개포’와 ‘논현 아이파크’에 주말 동안 총 7만여명의 방문객이 다녀가며 청약경쟁률 과열을 예고했다. 사진은 디에이치자이 개포 견본주택 모습. ⓒ원나래 기자


주택시장의 분위기가 지역에 따라 냉온탕으로 극명하게 갈리고 있다.

서울 강남에서 새로 문을 연 견본주택에는 주말동안 수만명이 다녀가며 대박을 예고하고, 지방의 아파트는 할인분양을 실시해도 몇 개월째 주인을 찾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서울의 아파트는 3.3㎡당 4000만원이 넘는 고 분양가에도 준공 후 수억원의 시세차익이 예상되지만, 지방은 수천만원을 깎아줘도 수요자들의 마음을 끌어모으기에 버거운 모습이다.

업계에는 정부의 과도한 규제가 역효과를 내면서 서울의 새아파트는 희소성을 높였고, 지방 분양시장은 금리인상과 대출규제로 인해 고사 위기에 놓였다고 분석하고 있다.

20일 부동산시장 업계에 따르면 지난 주말 서울 강남권에서 새로 문을 연 견본주택에는 10만 인파가 몰렸다.

실제 지난 16일 견본주택을 개관한 ‘디에이치자이 개포’와 ‘논현 아이파크’에 주말 동안 총 7만여명의 방문객이 다녀가며 청약경쟁률 과열을 예고했다. 또 준강남으로 평가 받는 과천 위버필드에도 같은 기간 2만6000여명이 몰려들었다.

이들 아파트들의 인기는 저렴한 분양가 때문은 아니다. ‘디에이치자이개포’의 입주마 모집공고를 보면 전용면적 84㎡의 분양가는 12억4920만~14억3160만원에 달한다.

가장 작은 주택형인 전용 63㎡의 분양가도 9억8010만원에 이르고, 특히 1가구가 분양되는 펜트하우스 전용 173㎡와 176㎡는 30억원대로 책정됐다.

모든 주택형이 9억원을 초과해 집단대출이 안 되고, 시공사도 자체보증을 통한 중도금 대출을 하지 않기로 했다.

그나마 논현 아이파크는 대부분 중도금 대출이 가능하다. 이 단지 전용 47~84㎡ 99가구인 아파트의 평균 분양가는 3.3㎡당 4015만원이다. 2가구가 공급되는 전용 84㎡를 제외하고는 모든 가구가 중도금 40% 대출을 받을 수 있다.

이들 단지의 흥행은 어느정도 예고된 게 사실이다. 만약 분양에 당첨될 경우 최소 수천만원 최대 수억원의 차익이 발생한다는 ‘로또’ 기대감이 때문이다.

실제 인근 일원현대 재건축 ‘래미안 루체하임’의 경우 전용 84㎡ 9층 분양권이 올 1월 19억5261만원에 거래됐다.

개포2단지 재건축인 ‘래미안 블레스티지’도 같은 면적 분양권이 지난해 12월 16억4200만~18억2080만원에 매매됐다. 이를 감안하면 디에이치자이개포의 경우 당첨되면 최대 7억원 정도의 시세차익이 예상된다.

한 분양 관계자는 “디에치자이 개포의 견본주택 인근에는 당첨만 되면 분양권 매매를 알선하는 ‘떴다방(불법 이동식 공인중개사무소)’이 생길정도로 청약과열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며 “정부의 규제로 재건축이 발목을 잡히는 등 당분간 강남권에서 나올 아파트가 없다는 점에서 희소성이 크게 부각된 것 같다”고 말했다.

반면 지방의 경우 분양 개시 1년이 훨씬 넘어 할인분양까지 실시하는데도 아직까지 계약자를 찾고 있는 아파트가 있다.

할인분양은 주택시장 침체기에 건설사들이 미봉책으로 쓰는 수단으로, 수익 감소가 불가피하지만 미분양 아파트를 털어내기 위한 마지막 기법으로 통한다.

실제 경남 창원 진해 남문 시티프라디움 1차 일부 가구는 초기 분양가보다 1000만원 정도를 낮춰 계약자를 찾고 있다.

같은 창원 내 마산합포구의 ‘월영 SK오션뷰’의 일부 조합원 물량인 전용 84㎡도 최초 분양가에서 3000만원을 낮춘 3억1600만원에 집주인을 찾고 있다.

이런 모습을 보고 전문가들은 정부가 규제에 앞서 지역별 주택시장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고 꼬집는다. 지방의 경우 지역경제 침체와 과잉 공급으로 인해 고사위기에 놓여있지만, 정부는 일률적인 규제로 지방을 더욱 옥죄고 있다고 해석한다.

한 부동산 전문가는 “지방의 경우 그동안 주택공급이 꾸준히 이뤄졌는데, 물량이 소화되기도 전에 금융규제 등으로 분양에 발목을 잡혔다”며 “지방은 수요와 공급이 무너져 되살아나려면 시간이 필요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권이상 기자 (kwonsgo@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권이상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