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시 황제' 등장에 속 타는 동양생명·ABL생명


입력 2018.03.14 06:00 수정 2018.03.14 06:43        부광우 기자

"3연임 금지 조항 폐기" 개헌안 통과…시진핑 권력 집중 강화

부패 척결 속 경영권 뺏긴 대주주 안방보험…오너리스크 증폭

시진핑 국가주석의 장기 집권 체제 돌입으로 중국 안방보험그룹 소속인 동양생명과 ABL생명이 오너 리스크에 직면하고 있다.ⓒ데일리안 시진핑 국가주석의 장기 집권 체제 돌입으로 중국 안방보험그룹 소속인 동양생명과 ABL생명이 오너 리스크에 직면하고 있다.ⓒ데일리안

시진핑 국가주석의 장기 집권 체제 돌입으로 중국 안방보험그룹 소속인 동양생명과 ABL생명에 드리운 먹구름이 더욱 짙어질 태세다. 정부의 부패 척결 기조와 맞물려 경영권을 잃은 우샤오후이 안방보험 회장의 입지가 시 주석의 권력 강화와 함께 더욱 좁아질 수 밖에 없어서다. 안방보험이라는 대륙 자본의 든든한 배경을 엎고 광폭 행보를 보이던 동양생명과 ABL생명으로서는 커지는 오너리스크에 불안감을 떨칠 수 없게 됐다는 지적이다.

14일 주요 외신들에 따르면 최근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는 국가주석의 3연임 금지 조항을 폐기하는 개헌안을 통과시켰다.

이에 따라 시 주석이 장기집권의 길을 열었다는 평이 나오는 가운데 국내 보험업계의 눈은 중국 안방보험 계열사인 동양생명과 ABL생명으로 쏠리고 있다.

시진핑 정권이 경제 관련 범죄, 특히 기업가들의 부정에 대해 고강도 대응을 이어가는 과정에서 우 회장이 이와 관련된 케이스에 걸려 안방보험 지배권을 잃은 처지여서다. 시 주석의 권한이 더욱 세진만큼 중국 정부의 이 같은 기조가 계속될 것으로 전망되면서 우 회장의 미래는 더욱 불투명해지는 형국이다.

현재 중국 안방보험은 사실상 국유화 상태다. 중국 보험감독관리위원회(보감회)는 지난 달 우 회장이 경제 범죄 연루 혐의로 기소됐다며 1년 간 안방그룹에 대해 위탁경영에 들어간다고 전했다. 안방보험의 경영진들이 서로 짜고 조직적으로 범죄를 저지른 사실이 드러나 경영권을 박탈하게 됐다는 설명이다.

아울러 보감회가 위탁경영 기간 안방보험의 지배구조 개선에 적극 나서겠다고 밝힌 대목은 동양생명과 ABL생명을 둘러싼 위기감을 더욱 키우고 있다. 당장 보감회 발표 직후 국내 보험업계에서는 동양생명과 ABL생명의 안방보험 출신 경영진 교체설이 돌기도 했다. 또 안방보험의 해외자산 확대를 탐탁지 않게 바라보던 보감회가 이에 대한 정리에 나설 경우 동양생명과 ABL생명에까지 충격파가 미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사실 안방보험이 지난 2015년과 2016년 동양생명, ABL생명을 잇따라 인수할 때만 해도 우 회장은 존재는 강점으로 평가됐다. 덩샤오핑의 손녀사위인 우 회장이 인간관계를 중요시 하는 현지 영업 환경에서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비즈니스 이점을 누릴 수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상황이 역전되면서 안방보험 후광을 믿고 저축성 보험을 통해 빠르게 회사 규모를 키워오던 동양생명과 ABL생명의 전략도 수정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2021년 새 국제회계기준(IFRS17)이 본격 시행되면 저축성 상품은 보험사의 재정에 악영향을 끼칠 것으로 전망된다. IFRS17가 적용되면 보험사의 보험금 부채 평가는 현행 원가에서 시가로 변경되는데, 이에 저금리 상태에서도 고금리로 판매된 상품은 가입자에게 돌려줘야 할 이자가 많아지게 된다. IFRS17은 이 차이를 모두 부채로 계산한다.

이런 상황에서도 동양생명과 ABL생명이 저축성 보험 판매에 공격적으로 나설 수 있었던 것은 350조원에 달하는 자산을 보유한 안방보험의 뒷받침이 보장돼 있기에 가능했던 행보다. 저축성 상품 확대로 인한 자본 부담을 해결해줄 테니 일단 몸집을 키우라는 식이었다.

실제로 안방보험은 지난해 동양생명과 ABL생명에 추가로 3조원을 투자하겠다는 계획을 내놓은 바 있다. 이미 같은 해 유상증자 참여를 통해 동양생명에 5000억원, ABL생명에 3000억원 대의 자본을 수혈해주기도 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안방보험부터 동양생명과 ABL생명에까지 닿아 있는 오너리스크에서 가장 불안한 점은 중국 정부가 우 회장에 대해 어떤 처분을 내릴지 좀처럼 예측하기 힘든 불확실성에 있다"며 "다만 우 회장의 사례가 현 중국 정부의 반부패 드라이브와 궤를 같이 하고 있다는 점에서 시 주석의 권력 강화는 안방보험 오너리스크를 키우는 요인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부광우 기자 (boo073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