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남북정상회담 후속카드 이산가족상봉…“남북 논의 중”


입력 2018.03.14 06:00 수정 2018.03.14 06:30        박진여 기자

이르면 6월, 늦어도 추석께 추진 가능성

北, 민간교류 활성화 대남유화공세 가속

탈북식당종업원·김련희 송환 문제 변수

정부는 4월 말 예정된 남북 정상회담 이후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적십자회담 등 남북관계 복원을 위한 후속조치에 착수할 방침이다. (자료사진) ⓒ사진공동취재단 정부는 4월 말 예정된 남북 정상회담 이후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적십자회담 등 남북관계 복원을 위한 후속조치에 착수할 방침이다. (자료사진) ⓒ사진공동취재단

이르면 6월, 늦어도 추석께 추진 가능성
北, 민간교류 활성화 대남유화공세 가속
탈북식당종업원·김련희 송환 문제 변수


남북 정상회담 개최 합의 등 남북관계가 급물살을 타면서 그동안 꽉 막혀 있던 남북간 교류 협력이 재개될 지 주목된다. 중심에는 이산가족 상봉이 있다.

정부는 4월 말 예정된 남북 정상회담 이후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적십자회담 등 남북관계 복원을 위한 후속조치에 착수할 방침이다.

정부는 남북관계에 있어 이산가족 상봉을 가장 시급한 과제로 강조해왔다. 문재인 대통령은 취임 후 첫 대북제의로 남북 적십자회담을 꺼내들었고, 지난 1월 남북 고위급회담에서도 설 계기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재차 제안했다.

현재까지 북측에서 별다른 입장변화는 없지만, 남북 간 꾸준한 의견교환이 이뤄지는 것으로 전해진다. 정부는 정상회담 계기 적십자회담 개최를 최우선 과제로 추진 중이다.

조명균 통일부 장관은 "정상회담도 열리고 남북한 관계가 풀려나가면 이산가족 문제도 풀어나갈 수 있는 단계로 진입할 수 있지 않을까 전망해본다"고 말했다. (자료사진) ⓒ사진공동취재단 조명균 통일부 장관은 "정상회담도 열리고 남북한 관계가 풀려나가면 이산가족 문제도 풀어나갈 수 있는 단계로 진입할 수 있지 않을까 전망해본다"고 말했다. (자료사진) ⓒ사진공동취재단

조명균 통일부 장관은 "정상회담도 열리고 남북한 관계가 풀려나가면 이산가족 문제도 풀어나갈 수 있는 단계로 진입할 수 있지 않을까 전망해본다"며 "(적십자회담 등) 남북 간 일단 논의가 되고 있고, 거기에 대해 북측도 충분한 인식을 하고 있다고 말씀드릴 수 있겠다"고 밝혔다.

조 장관은 이어 "이산가족 문제와 관련해 북한도 나름대로 여러가지 내부적인 입장이 있다"며 "남북관계를 개선해 나가면서 그런 부분들에 대해 남북 간 풀어나갈 수 있는 것들을 모색해 이산가족 문제를 풀어나가는 현실적인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남북 간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논의가 진행 중이며, 그 필요성을 공감하고 있다는 의미다. 이에 정상회담이 끝난 후 적십자 회담이 개최될 가능성이 점쳐진다.

북한의 태도 변화도 이 같은 기대에 힘을 싣고 있다. 북한은 앞서 이산가족 상봉의 조건으로 중국 내 북한식당에서 집단 탈출한 여종업원 12명과 김련희 씨의 송환을 요구했다.

이산가족 상봉은 지난 2015년 10월 금강산에서 열린 것을 마지막으로 중단됐다. (자료사진) ⓒ데일리안 이산가족 상봉은 지난 2015년 10월 금강산에서 열린 것을 마지막으로 중단됐다. (자료사진) ⓒ데일리안

그러나 최근 특사단이 남북을 오가면서 북한은 추가 교류 대책을 주문했다. 정상회담에 앞서 이산가족 상봉 추진 여부가 주목되는 대목이다.

정부 당국자는 "이번 대북 특별 사절단 방북에서 이산상봉과 관련된 구체적 교감이 있었는지는 모르지만, 남북관계가 복원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성사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정상회담 뒤 적십자회담이 열린다면 이르면 6월, 늦어도 9월 추석께 이산가족 상봉행사가 추진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산가족 상봉은 지난 2015년 10월 금강산에서 열린 것을 마지막으로 중단됐다. 통일부와 대한적십자사가 공동 운영하는 이산가족정보통합시스템에 따르면 1988년부터 지난 1월 말까지 시스템에 등록된 이산가족 상봉 신청자는 13만1447명으로, 이 가운데 7만2762명이 사망해 생존자는 5만8685명으로 집계됐다.

이중 80대 이상의 비율이 전체의 64.7%(3만7966명)로, 지난 한 해 동안만 상봉 신청자 가운데 3795명이 북에 있는 가족과 친지를 보지 못한 채 세상을 떠났다.

박진여 기자 (parkjinyeo@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박진여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