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한은 2분기 기준금리 인상론 '솔솔'


입력 2018.01.17 16:16 수정 2018.01.17 16:22        이미경 기자

연준 상반기 인상 횟수에 따라 한은 금리인상 압박 가중

오는 18일 올해 첫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금리동결이 유력한 가운데 기준금리 조기 인상론이 솔솔 제기되고 있다.ⓒ데일리안 오는 18일 올해 첫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금리동결이 유력한 가운데 기준금리 조기 인상론이 솔솔 제기되고 있다.ⓒ데일리안

오는 18일 올해 첫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금리동결이 유력한 가운데 기준금리 조기 인상론이 다시 힘을 받고 있다.

지난해 11월 30일 6년5개월만에 금리인상에 나선후 이주열 총재는 공식적인 자리가 있을때마다 '추가 금리인상은 신중히 할 것'이라는 표현으로 올 상반기보다는 하반기 추가 인상 가능성에 좀더 힘이 실렸었다.

사실상 이 총재가 오는 3월 말 퇴임전에 금리를 인상하지 않으면 새 총재가 부임한후 상반기에 바로 금리를 올리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에서다.

하지만 경기여건이나 대외적인 분위기를 따져봐도 추가 금리인상 시기는 상반기가 적절하다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이 총재가 퇴임하기 전인 2월 금통위, 신임 총재의 부임 직후인 4월, 6월 지방선거 전인 5월에 인상 가능성이 있다는 견해가 나오는 이유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4월 1일에 첫 출근하는 신임 총재가 첫 금통위를 같은달 12일에 치루게 되는만큼 곧바로 기준금리 인상에 나서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된다. 기준금리 결정이 금통위원 7인의 객관적인 견해가 반영되서 나오는만큼 업무파악이 덜된 신임 총재가 금리인상을 결정하기엔 부담이 클 수 있다는 지적이다.

또한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도 금리인상이 부담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된다. 금리인상 결정에 앞서 정치적 이벤트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상반기에만 오는 3,6월 인상할 가능성이 높고 일본은행(BOJ)과 유럽중앙은행(ECB)이 금리정상화에 나서기 시작하면 글로벌 중앙은행이 긴축으로 방향을 전환될 가능성이 크다는 주장이 나온다.

전문가들 "4~5월 금리인상 가능성 높아"

전문가들은 추가 금리인상 시기로 오는 4,5월이 유력하다는 견해를 내놓고 있다. 한은이 주요국 중앙은행들의 통화정책 변화에 손놓고 있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에서다. 연준이 3월에 인상하면 금리상단은 미국이 1.75%로 한미간 금리역전이 일어나게 된다. 최근 시장에서 예상하는 3,6월에 미국이 연달아 금리를 올리면 상단은 2.00%가 된다. 금리 역전폭이 0.5%포인트 차이가 나가돼 자본유출이 본격화될 우려가 제기된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미국 연준이 3월에 금리를 올리면 4월 정도에 한은도 금리인상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며 "외국인 채권자금이 지난해 7월 이후에 서서히 빠지고 있는데 금리가 역전되면 외국인 자금 유출 규모도 더욱 커질 우려가 있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외국인의 원화채권 보유 잔액은 지난해 말 기준으로 98조원을 기록했다. 작년 7월 106조원 규모에서 서서히 이탈하는 흐름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그러면서 황 연구위원은 "현재 기준금리 1.50%는 최근 상승흐름을 보이고 있는 시장금리보다 후행하고 있는듯하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대체로 현재의 경기흐름이 급격하게 둔화되지 않는다는 점을 감안하고 금융시장의 불균형을 방지하는 차원에서라도 2분기 금리인상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 중론이다.

정성윤 현대선물 연구원은 "추가 금리인상을 하반기로 미룰만한 경기상황은 아니라고 본다"며 "1분기 금통위에서 추가 금리인상에 대한 구체적인 신호가 나온후 2분기에 인상할 가능성이 크다"고 강조했다.

금통위의 추가 금리인상에 대한 신호는 경기의 펀더멘탈(기초체력)에 기반해야하는데 올 하반기까지 현재의 경기의 흐름을 이어갈지 여부가 불투명하기 때문이다.

정 연구원은 "변곡점이 나타나는 시장흐름이 오는 4월까지 바뀌지 않고 현재 경기개선흐름이 꾸준히 개선되는 흐름을 보인다면 4월 금리인상이 가능하다"고 전망했다.

김상훈 KB증권 연구원도 "당장 1,2월은 작년 11월 금리인상에 따른 정책효과가 나타나는 시기인만큼 추가 금리인상하기에는 이르고 5월이 적당할 것"이라며 "총재가 바뀐 직후 4월에는 아무래도 무리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추가 금리인상은 정책의 득과 실을 먼저 따져보고 결정할 것"이라며 "현재로서는 가계부채 부담과 현재 경기개선 흐름에 부담을 줄 수 있어 다소 부정적"이라고 말했다.

이미경 기자 (esit917@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이미경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