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기준금리 인상 눈앞인데"…또 부풀어 오르는 가계빚 어쩌나


입력 2017.11.23 06:00 수정 2017.11.23 06:38        이미경 기자

주담대, 신용대출 등 풍선효과 뚜렷…소득대비 빚 증가폭 커

한은-미국 동시 금리인상 가능성, 가계빚 부실화 우려 고조

주담대, 신용대출 등 풍선효과 뚜렷…소득대비 빚 증가폭 커
한은-미국 동시 금리인상 가능성, 가계빚 부실화 우려 고조


3분기 가계신용의 증가규모는 31조2000억원으로 전년동기(38조9000억원)보다는 축소됐지만 전분기(28조8000억원)보다 확대됐다.ⓒ게티이미지뱅크 3분기 가계신용의 증가규모는 31조2000억원으로 전년동기(38조9000억원)보다는 축소됐지만 전분기(28조8000억원)보다 확대됐다.ⓒ게티이미지뱅크

3분기 가계부채 규모가 1400조원을 훌쩍 넘어서면서 한국경제를 흔들 뇌관으로 재부상하고 있다.

이달 말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상하게 되면 이자부담 증가로 인한 가계 빚 부실화 우려는 더욱 커질 수 밖에 없다. 때문에 예견된 가계 빚 1400조원 규모 보다 증가폭에 관심이 쏠린다. 가계 빚 증가폭이 전년대비 둔화흐름을 보이고 있지만 전기대비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다는 점은 우려요인으로 꼽힌다.

특히 가계부채 규모가 소득수준 대비 높다는 점은 가계 빚 부실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가계소득은 그대로인데 가계부채만 증가세로 이어지다보니 부실화 가능성이 더 커지는 것이다.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이달 말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이 유력해짐에 따라 1400조원을 상회하는 가계빚 상환부담으로 이어지면서 소비위축과 기업부담 등 경기전반의 위축으로 나타나는 총체적 난국이 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최근들어 경기회복 추세 흐름에서 가계빚 증가가 최대 복병으로 급부상했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7년 3분기중 가계신용'에 따르면 올해 3분기 말 가계 신용 잔액은 1419조1000억원으로 집계됐다. 3분기 가계신용의 증가규모는 31조2000억원으로 전년동기(38조9000억원)보다는 축소됐지만 전분기(28조8000억원)보다 확대됐다. 1년새 가계부채 둔화세는 뚜렷해졌지만 최근 정부가 잇따라 내놓은 가계부채 대책에도 불구하고 분기별 가계빚 증가폭은 좀 더 빠르게 늘었다.

이처럼 가계부채 속도가 가팔라진 데에는 풍선효과가 작용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정부가 추진한 여신심사 가이드라인 여파로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의 가계대출 증가세는 꺾인데 반해 예금은행의 가계대출의 증가폭은 오히려 확대됐다. 한쪽을 누르니 다른 한쪽이 커지는 효과로 나타난 것이다.

특히 예금은행 주택담보대출의 증가세가 가팔랐는데 주담대 증가액은 무려 8조원이 늘면서 매 분기별 증가폭이 확대됐다. 앞서 지난 1분기 6000억원 증가했던 주담대는 2분기에 6조3000억원, 3분기 8조원으로 급격하게 증가세를 나타냈다.

신용대출의 비중이 큰 기타대출 증가액도 가팔랐다. 1분기(4000억원), 2분기(5조7000억원), 3분기(7조원)까지 증가폭을 키웠다. 비은행 대출을 조이자 은행 대출이 늘고 주담대를 줄이자 신용대출이 최대폭으로 늘어나는 등 잇따라 풍선효과로 나타나고 있다.

문소상 한국은행 금융통계팀장은 "신용대출을 포함한 기타대출이 증가한 원인은 3분기에 추석연휴나 이사철 등 계절적 요인으로 인해 가계빚 증가폭이 확대됐기 때문"이라며 "작년보다는 증가폭이 둔화되긴했지만 여전히 소득수준에 비해 가계빚 증가세가 더 가파르다는 점은 예의주시해야한다"고 말했다.

무엇보다 연내 한은과 미국의 동시 금리인상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어 1400조원을 상회하는 가계 빚에 비상등이 켜지고 있다. 이는 사상 최장기의 저금리로 이자수익을 챙겼던 은행권에서도 부정적인 이슈다. 금리인상으로 이자수익이 늘어난다는 점에서는 호재이지만 장기적 관점에서 부실여신규모도 커질 수 있다는 점에서 실적개선에 제동이 걸릴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또한 내집마련을 위해 가계빚을 낸 차주에게도 금리인상은 부정적인 이슈다. 금리를 올리면 자연히 이자부담이 커지면서 가계가처분 소득 감소로 이어져 소비위축으로 이어지게 된다. 기업의 경우에도 이자부담이 커지게 되면 투자비용을 줄이며 고용도 덩달아 악화될 소지가 나타날 수 있다. 가계빚 증가와 금리인상 이슈가 맞물리면서 경기에 부정적 영향을 초래할 수 밖에 없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소득은 그대로지만 가계빚 증가세가 가파르면서 가계 빚 부실화에 대한 우려가 커질 수 밖에 없다"며 "금리인상까지 겹치면 원리상환부담으로 소비력이 떨어지는 등 경기전반에 악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미경 기자 (esit917@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미경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