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포항지진] 서울도 '흔들' 내진설계 27% 불과…서울시 대책은?


입력 2017.11.17 05:00 수정 2017.11.17 05:49        박진여 기자

서울서만 신고전화 1000건 넘어…온라인 상 불안감 호소 글 봇물

박원순 "내진설계 큰 비용 들어가…중앙정부 예산 투입해야 할 것"

경북 포항에서 발생한 지진의 여파가 서울까지 이어진 가운데, 서울 지역의 건축물들이 지진피해 대비에 취약한 것으로 드러나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자료사진) ⓒ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경북 포항에서 발생한 지진의 여파가 서울까지 이어진 가운데, 서울 지역의 건축물들이 지진피해 대비에 취약한 것으로 드러나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자료사진) ⓒ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서울서만 신고전화 1000건 넘어…온라인 상 불안감 호소 글 봇물
박원순 "내진설계 큰 비용 들어가…중앙정부 예산 투입해야 할 것"


경북 포항에서 발생한 지진의 여파가 서울까지 이어진 가운데, 서울 지역의 건축물들이 지진피해 대비에 취약한 것으로 드러나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특히 인구가 밀집한 서울 지역의 내진설계율이 30%에도 미치지 못하면서 향후 피해가 커질 수 있다는 우려다. 유동인구가 많은 서울시에 지진이 발생할 경우 대재앙이 불가피하다는 지적이다.

최근 발표된 서울연구원의 '서울시 건축물 지진위험도 평가 자료 확보와 관리방안'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기준 서울시 건축물 중 내진설계가 된 건물은 27.5%로 전국 최저 수준이다. 이중 주거용 건물이 29.7%, 비주거용 건물이 23.6%다. 지난해 말 기준 전국 평균 내진율은 35.5%로, 전체적으로 내진설계가 취약한 것으로 확인됐다.

단독주택 및 다세대 주택 등 밀집지역을 일컫는 저층주거지역의 상황은 더 심각한 수준이다. 국회 교통위원회 소속 윤영일 국민의당 의원이 서울시에서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서울의 저층주택 39만5668동 가운데 내진설계 대상 건물은 12만6116동으로 나타났다. 이중 내진성능이 있는 건물은 1만5954동으로 전체의 12.4%에 불과했다.

윤 의원은 "여전히 우리나라 내진성능 확보 수준은 미흡한 수준"이라며 "내진설계 기준이 강화되기 전에 지어진 건물에 대한 보강은 건축주 재량에 맡겨져 있어, 노후 건물에 대한 지진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전문가들은 지진 대비 내진설계를 위한 자료 구축 및 조적조 건물 보강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특히 서울시 단독주택 상당수가 지진에 취약한 조적조 건물로, 보강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경북 포항에서 발생한 지진의 여파가 서울까지 이어진 가운데, 서울 지역의 건축물들이 지진피해 대비에 취약한 것으로 드러나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자료사진) ⓒ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경북 포항에서 발생한 지진의 여파가 서울까지 이어진 가운데, 서울 지역의 건축물들이 지진피해 대비에 취약한 것으로 드러나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자료사진) ⓒ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실제 이번 포항 지진으로 서울에서만 1000건이 넘는 신고 전화가 접수됐으며, 온라인 상에 불안감을 호소하는 글이 봇물을 이뤘다.

이에 서울시는 24시간 상황대응반을 구성해 비상근무 체제에 돌입했으며, SNS 등에도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포항 지진으로 한반도가 더이상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것이 확실해졌다"며 "내진설계를 통해 더 높은 강도의 지진이 와도 큰 피해가 없도록 예산을 투입해야 한다"고 밝혔다.

박 시장은 16일 YTN 라디오에서 "지하철 내진 설계는 상당 부분 이뤄졌지만 교량과 도로, 공공건물은 체계적으로 (내진 설계를) 추진하고 있다"며 "민간 건물의 경우에도 특별한 노력을 기울여 내진설계를 강화하는 조치가 더욱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 시장은 특히 내진설계 비용 문제를 짚어 "큰 비용이 들어가 하루아침에 되는 일이 아니다"라며 "이번 일을 계기로 중앙정부 예산을 투입해야 할 것"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박진여 기자 (parkjinyeo@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박진여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