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보수재편 초읽기…한국당 '제1당' 가능성에 민주당 '촉각'


입력 2017.10.16 04:35 수정 2017.10.16 15:27        이동우 기자

한국당, 박근혜 탈당권고로 통합파 명분 힘실어

민주당, 국민의당 연정 제안 거절…내홍 불가피

자유한국당과 바른정당 통합파 간의 보수야당 재편 움직임이 초읽기에 돌입하면서 한국당의 제1당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자유한국당 최고위원회의.(자료사진)ⓒ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자유한국당과 바른정당 통합파 간의 보수야당 재편 움직임이 초읽기에 돌입하면서 한국당의 제1당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자유한국당 최고위원회의.(자료사진)ⓒ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자유한국당과 바른정당 통합파 간의 보수야당 재편 움직임이 초읽기에 돌입하면서 한국당의 제1당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바른정당 통합파 의원이 최대 15명에 달하면 한국당 의석 107석을 포함해 총 122석으로 더불어민주당 의석수(121석)을 앞서게 된다는 계산이다.

반면 더불어민주당은 보수재편 과정에 촉각을 곤두세우며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 앞서 보수 통합에 대비해 일부 민주당 의원이 국민의당에 연정을 제안했지만 양당이 사실상 강하게 반발하고 있어 여소야대 정국 타계가 어려워진 상황이다.

한국당, 보수재편 시 정국 주도권 싸움서 우위 확보

16일 자유한국당은 이르면 17~18일 윤리위원회를 개최, 박근혜 전 대통령과 친박계 핵심 인사들에 대한 징계 수위를 결정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통합파 명분이 친박 청산인 점을 감안하면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탈당과 함께 서청원·최경환 현 친박 의원에 대한 인적 청산 시기를 최대한 빠른 시일 내 처리해야 되기 때문이다.

한국당은 바른정당의 11·13 전당대회 후보 등록일인 오는 26일을 1차 분수령으로 판단,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탈당권유를 조속히 처리할 방침이다. 당규에서는 탈당 권유 통지 후 열흘 내 탈당 신고서를 내지 않으면 자동 제명 처분된다고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당을 제1당으로 하는 보수 재편이 성공하게 되면 당의 발언권과 협상력이 보다 강화될 전망이다. 국감 직후 예정된 예산안과 민생법안 등 정기국회의 주도권 싸움에서 유리한 위치를 선점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20대 국회 하반기 국회의장직과 주요 상임위원회 위원장 자에서도 상대적 우위에 설 수 있을 것이라는 의견에 힘이 실릴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국민당과 바른정당의 캐스팅보드 역할로부터 약해진 당의 존재감 회복의 변곡점이 될 수 있다는 전망이다.

국민의당에 연정 퇴짜 맞은 민주당…보수재편 '촉각'

정부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가시권에 돌입한 보수재편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민주당 일각에서 보수 통합에 대비해 국민의당에 제안한 연정 카드가 사실상 백지화 되면서 강화될 여소야대 국면을 바라보고 있다.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는 연정 제안을 '당을 흔들기 위한 장난질'로 규정, 민주당을 강하게 비판했다. 우원식 민주당 원내대표도 13일 최고위원회의 직후 "연정은 나가도 한참 나간 것"이라며 "입법과 예산에 관련된 협치를 해볼 수 있을까 하는 아이디어 정도로 이야기 한 것"이라고 한 발 물러났다.

민주당 내에서도 이번 연정 제안을 두고 일부 의원들의 반발로 적잖은 내홍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한 여당 의원은 "여소야대 정국에서 오죽하면 연정까지 제안했겠느냐"며 "진지한 고민이 없었다"고 지적했다.

문재인 대통령도 여소야대 정국에서의 민주당의 역할을 주문하고 나섰다. 문 대통령은 13일 민주당 지도부와 시도당위원장들과의 청와대 만찬 자리에서 "국회 구조가 여소야대로 어려운 상황이지만 집권당의 책임감과 진정성으로 여야 협치의 틀을 만들어 새로운 나라를 만들기 위한 과제들을 풀어가도록 하자"고 강조했다.

국민의당과의 연대 불씨가 여전히 살아있다고 보는 시각도 존재한다. 국정감사 직후 시작하는 예산 정국에서 민주당 단독으로 처리할 수 없는 현실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여기에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연정·협치 문제가 재차 거론 될 수 있다는 정치권 분석이다.

이동우 기자 (dwlee99@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동우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