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KB금융 사외이사진 존재감…지배구조 새 장 여나


입력 2017.09.20 06:00 수정 2017.09.20 06:40        이미경 기자

KB사태 이후 새 진용 갖춘 사외이사진 '낙하산 논란' 원천 배제

거버넌스 규정 재정비 등 이슈때마다 목소리 내며 존재감 부각

KB금융지주의 차기 회장 후보 선정 작업을 진행 중인 확대 지배구조위원회가 14일 오후 국민은행 서울 여의도 본점에서 회의 결과를 설명하고 있다.ⓒ연합뉴스 KB금융지주의 차기 회장 후보 선정 작업을 진행 중인 확대 지배구조위원회가 14일 오후 국민은행 서울 여의도 본점에서 회의 결과를 설명하고 있다.ⓒ연합뉴스

정권교체기 '낙하산 인사' 논란에서 자유롭지 못했던 금융권이 윤종규 KB금융지주 회장의 연임을 결정지은 사외이사진의 존재감에 주목하고 있다. 주주와 외부 헤드헌팅 기관의 엄정한 심사로 구성된 7명의 전문가들이 KB회장 인선과정에서 '관치금융의 굴레'를 벗어던지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평가를 얻고 있어서다.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금융 사외이사진은 지난 2014년 금융권을 강타한 KB사태를 되풀이하지 않는 차원에서 회장 후보군 선출 과정에서부터 외부출신 인사를 철저히 배제하기로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지난 14일 확대지배구조위원회(확대위)를 구성한 사외이사들은 숏리스트(압축후보군) 결과 발표에서 예상을 뒤엎고 윤 회장을 포함 내부 출신 인사로 짜여진 3명의 후보를 깜짝 공개했다. 회장 후보군에 친정부 인사가 포함될 것이라는 예상은 빗나갔다.

최영휘 의사회 의장(확대위원장)을 비롯한 확대위원들은 안정적이면서 성장을 견인할 후보에 초점을 맞춰 내부출신들로 숏리스트를 구성했다. 사실상 KB사태를 봉합시키고 안정적인 지배구조와 실적 성장을 이끈 윤 회장에 힘을 실어줬다.

이처럼 외풍을 막아낸 사외이사진의 면면을 살펴보면 주주제안 절차를 통해 추천받거나 헤드헌팅 기관으로부터 추천받은 인물들로 구성이 돼있어 주목된다.

먼저 최영휘 이사회 의장(확대위원장)은 신한금융 사장을 역임했고, 박재하 사외이사는 신한은행 사외이사를 지낸 바 있다. 이 가운데 박재하 이사는 신상훈 전 신한금융 사장의 추천을 받았고 이병남 이사는 네덜란드연기금자산운용(APG)의 위임을 받은 김상조 당시 경제개혁연대 소장(현 공정거래위원장)의 추천을 받았고, 김유니스경희 이사는 장하성 당시 고려대교수(현 청와대 정책실장) 등의 주주추천을 통해 이사로 낙점됐다.

이들 사외이사들은 거수기가 아닌 적극적인 의사 표명을 통해 경영활동에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KB사태를 반면교사삼아 경영승계규정에 '연임 우선권' 조항을 제외시키는 등 지배구조 전반에 대한 규정을 재정비했다.

연임 우선권은 당초 최고경영자 승계과정에서 현직 회장에서 연임 의사를 먼저 묻는 조항으로 기존 지배구조에 관한 법률에 이러한 내용이 포함돼있다. 이에 사외이사들은 이사회내 위원회 규정을 개정하는 과정에서 금융회사의 지배구조에 관한 법률에 대한 개정을 놓고 토론을 벌인 끝에 지난해 7월 지배구조 내부규범을 재정비하는 과정에서 연임 우선권 조항을 폐지했다.

KB금융 관계자는 "금융당국이 만든 금융회사 지배구조 모범규준이 구속력이 없기 때문에 자체적으로 규정을 재정비했다"며 "내부적으로 지배구조 내부규범 제정을 위해 사외이사진들이 몇년간 논의를 지속한 끝에 지난해 결론이 나왔다"고 말했다.

하지만 외부 인사를 차단한다는 명목하에 회장 선임을 위한 절차에서 투명하지 못한 시스템은 반드시 재정비해야한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동시에 제기됐다.

실제 회장 승계 계획을 수립하거나 변경하는 지배구조위원회에 연임 당사자인 회장이 포함되는 것 자체가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다. 실제 지배구조위원회에서는 윤 회장을 비롯한 최영휘 의장과 이병남 이사, 박재하 이사, 이홍 부행장 등이 이름을 올렸다.

오정근 건국대 금융IT학과 특임교수는 "KB금융이 정부의 입김에서 벗어나 자율적인 방식으로 지배구조 개선이 됐다는 점에서는 높게 평가하지만 경영감시를 해야할 사외이사에 회장이 (지배구조 상시위원회 등에) 포함돼있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은 구조"라며 "회장과 행장과 분리되면서 안정적으로 기반이 다져지면 사외이사들이 경영을 제대로 감시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익명의 한 금융권 관계자는 "결과적으로 관치가 없었지만 제왕적 CEO라는 구조에서 벗어나지 못했던 것이 사실"이라며 "절차 과정에서 좀 더 투명한 방식으로 회장 인선 절차를 진행했다면 반발의 목소리가 좀더 줄어들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있다"고 지적했다.
서울 여의도 국민은행 본점 사옥 전경.ⓒ국민은행 서울 여의도 국민은행 본점 사옥 전경.ⓒ국민은행
이미경 기자 (esit917@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미경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