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외교갈등으로 볼모잡힌 62조 통화스와프


입력 2017.09.14 16:51 수정 2017.09.14 16:53        이미경 기자

내달 10일 중국과의 통화스와프 계약 연장 불투명

외교적 갈등으로 일본에 이어 중국도 계약안할 가능성 커

14일 오전 인천 연수구 송도동 경원재 앰배서더 호텔에서 열린 제9차 한중일 중앙은행총재 회의에 앞서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오른쪽)와 저우 샤오촨 중국인민은행 총재(왼쪽)가 인사를 나누고 있다.ⓒ한국은행 14일 오전 인천 연수구 송도동 경원재 앰배서더 호텔에서 열린 제9차 한중일 중앙은행총재 회의에 앞서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오른쪽)와 저우 샤오촨 중국인민은행 총재(왼쪽)가 인사를 나누고 있다.ⓒ한국은행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에 따른 중국의 경제보복이 날로 거세지는 가운데 만기에 다다른 3600억 위안(62조) 규모의 통화스와프 계약 연장 여부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중국과의 사드갈등으로 인해 내달 10일 한·중 통화스와프의 계약 연장 여부도 불투명한 상황이다. 이전에 일본과의 외교갈등에 따른 계약 무산 전철을 밟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최근 사드의 추가배치 결정 이후에 한·중간의 갈등은 최고조에 이르고 있다. 중국이 통화스와프를 연장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앞서 한국은 일본과 최대 700억달러 규모의 통화스와프 계약을 체결했지만 외교적 갈등으로 인해 규모가 점차 줄다가 지난 2015년 2월 전면 종료됐다.

한·일 양국은 올해 초 통화스와프 재개를 협의했지만 일본 측에서 일방적으로 위안부 소녀상 설치를 이유로 협상 종료를 통보하고 무산시켰다. 사실상 협상 종료 이후에 통화스와프에 대한 진전된 논의는 없는 상태다.

통화스와프는 특정한 만기 날짜를 지정하고 미리 약속한 환율에 따라 통화를 교환하는 외환거래다.

통화스와프 협정이 된 나라에 필요할때마다 자국 통화를 상대방 중앙은행에 맡기고 그만큼 외화를 빌려와 쓸 수 있다는 점에서 금융리스크 관리에 대한 최적의 방안으로 주목받아왔다.

특히 외환위기와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으면서 통화스와프 협정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됐다.

이번 한중 통화스와프 규모는 3600억 위안 규모인데 아시아 지역 내의 금융안전망으로 다자간 체결된 '치앙마이 이니셔티브(CMIM)'에서 빌릴 수 있는 384억 달러를 포함해 총 계약체결액의 46%를 점하고 있다. 때문에 중국과의 계약 연장은 반드시 진행되어야한다는 것이 금융권 전문가들의 지배적인 견해다.

하지만 중국과의 만기 연장여부는 여전히 안갯속이다. 사드 갈등이 장기화되면서 사실상 통화스와프 연장에 대한 논의는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금융권 전문가는 "최근에는 국내에서의 북핵 리스크가 고조되는 등 금융시장에서 외화자금이 썰물처럼 빠져나갈 가능성에 대비하는 차원에서 통화스와프 연장은 매우 시급한 문제"라며 "중국과의 통화스와프 연장을 위한 외교적인 노력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한편 13~14일 이틀간 인천 송도에서 열리는 '한·중·일 중앙은행 총재 회의'에서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와 구로다 하루히코 일본은행 총재, 저우 사오찬 인민은행 총재가 만나 경제와 금융통향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지만 공식 의제에 통화스와프에 대한 논의는 없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미경 기자 (esit917@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미경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