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없거나, 틀리거나, 중복되거나…추적도 안되는 '살충제 계란'


입력 2017.08.18 15:29 수정 2017.08.19 11:11        이소희 기자

정부 난각코드 빠진 계란 유통과정 파악 중, 소비자 불안 증폭

정부 난각코드 빠진 계란 유통과정 파악 중, 소비자 불안 증폭

‘살충제 계란’ 파장에 소비자 불안이 증폭되고 있다. 살충제 성분 검출에 이어 어느 농장에서 생산됐는지 추적 확인을 위해 의무화 된 계란껍데기에 찍는 표식(난각코드)이 없는 달걀까지 등장해 정부가 유통과정에 대한 파악에 나섰다.

난각코드는 생산지와 생산자 정보를 담고 있어 지역명을 01~17까지 숫자로 구분하고 그 뒤는 생산자가 임의로 농장명 등을 부여해 사용하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에 따르면 시·도를 구분하는 숫자 2자리와 생산자명의 영문약자(영문 3자리) 또는 생산자명을 나타내는 기호(숫자 3자리)를 포함해 총 5자리로 표시하도록 돼있다.

정부가 발표한 부적합 농장의 계란에 난각코드가 찍혀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발표한 부적합 농장의 계란에 난각코드가 찍혀있다. ⓒ연합뉴스

시·도별로는 서울특별시 01, 부산광역시 02, 대구광역시 03, 인천광역시 04, 광주광역시 05, 대전광역시 06, 울산광역시 07, 경기도 08, 강원도 09, 충청북도 10, 충청남도 11, 전라북도 12, 전라남도 13, 경상북도 14, 경상남도 15, 제주특별자치도 16, 세종특별자치시 17 등이다.

18일 농림축산식품부가 발표한 ‘비페트린’ 초과 검출로 인해 유통 부적합 판정을 받은 농가 중 경북 김천시에 소재한 한 농가에서 난각코드가 없는 계란이 발견됐다.

이에 대해 정부 관계자는 “해당 농가의 경우 난각 코드를 찍는 바코드를 현재 세팅 중으로 별도의 난각코드가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며 “난각코드 없이 유통됐는지는 파악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강원 철원지역에서 ‘비페트린’이 검출된 한 농가의 난각코드명이 바뀌어 발표되는 상황도 벌어졌으며, 전수검사를 통과했지만 부적합 판정을 받은 농가와 난각코드가 일치한 농장도 나타나 판매에 어려움을 겪는 상황도 벌어졌다.

현재 정부는 전수조사 과정 중에도 수급난을 우려해 검사결과 적합 판정을 받은 달걀은 판매를 시작했다. 때문에 계란을 구매하는 소비자는 정부가 발표하는 부적합 농가에 대한 난각코드로 적합 유무를 가려 구매하는 상황이다.

결국 난각코드가 찍히지 않은 '살충제 계란'이 시중에 유통됐을 가능성이 있는 셈이다.

더 문제는 이 난각코드를 소규모 농장의 경우 생산자가 손으로 찍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난각코드를 없이 유통되거나 고의로 지역명에 다른 부호를 찍거나 중복된 생산자명을 표기하면 생산자 추적도 무용지물이 된다는 것이다.

현재 식약처는 국민 알권리 차원에서 이들 부적합 농가에 대한 난각코드를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하며 소비자들에게 선별 구입할 것을 공개하고 있다.

지금까지 공개된 부적합 농가는 모두 45개 농가로, 이들 난각코드는 △07051 △07001 △08신선농장 △06대전 △08LSH △08KD영양란 △08SH △08쌍용농장 △08가남 △08양계 △08광면농장 △08신둔 △08마리 △08부영 △08JHN △08고산 △08서신 △11서영 친환경 △11덕연 △11신선봉농장 △14소망 △14인영 △14혜찬 △15연암 △15온누리 △09지현 △13SCK △13나성준영 △14황금 △14다인 △11시온 △13정화 △08신호 △08LCY △08맑은농장 △13우리 △13대산 △13둥지 △13드림 △15CYO △08LMB △11대명 △11CMJ △11송암 등 난각코드가 빠진 한 농장을 제외한 명단이다.

이소희 기자 (aswith@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소희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