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문재인-기업 첫 회동 D-1, 분주함 속 근심 커지는 재계


입력 2017.07.26 11:50 수정 2017.07.26 14:28        이홍석 기자

재계, 청와대 간담회 하루 앞두고 주제·이슈 정리로 분주

상생협력·투자 발표 활발 속 정부 압박 증가 우려도

재계, 청와대 간담회 하루 앞두고 주제·이슈 정리로 분주
상생협력·투자 발표 활발 속 정부 압박 증가 우려도

왼쪽부터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구본무 LG그룹 회장, 권오현 삼성전자 부회장.ⓒ각사 왼쪽부터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구본무 LG그룹 회장, 권오현 삼성전자 부회장.ⓒ각사

하루 앞으로 다가온 청와대와 재계간 간담회를 앞두고 어떠한 대화가 오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재계는 주제 관련 이슈 정리 등으로 분주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룹 및 계열사를 통한 상생협력 및 투자계획 발표가 줄을 잇고 있는 가운데 이러한 노력에도 향후 정부의 기업 압박 강도가 높아질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25일 재계에 따르면 국내 주요 그룹들은 26일과 27일 양일간 진행될 문재인 대통령과 기업인들과의 대화에서 다뤄질 내용들을 파악하고 이에 맞게 내용을 준비하며 바쁜 모습이다. 각 그룹들은 행사 참석 인사들이 속속 결정되면서 대화 내용 등 막바지 준비에 한창이다.

삼성·SK·LG 에서는 권오현 삼성전자 부회장, 최태원 회장, 구본준 부회장 등 지난달 말 방미경제사절단 멤버들이 다시 참석할 예정이다.

현대차는 정몽구 회장과 정의선 부회장 중 1명으로 결정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롯데는 신동빈 회장이 당일 재판이 있지만 불출석에 대한 양해를 구하고 참석할 가능성이 높다.

권오준 포스코 회장, 허창수 GS 회장, 김승연 한화 회장, 최길선 현대중공업 회장, 정용진 신세계 부회장, 황창규 KT 회장, 박정원 두산 회장, 손경식 CJ 회장, 함영준 오뚜기 회장 등도 참석이 확정됐다.

한진에서는 몸이 좋지 않은 조양호 회장을 대신해 장남인 조원태 대한항공 사장이 대신 참석할 것으로 보인다.

주요 기업들은 이번 간담회에서 일자리 창출과 상생협력으로 정해졌지만 비정규직 문제와 산업용 전력요금 인상, 최근 화두로 떠오른 법인세 인상 등 다양한 주제가 대화 테이블에 오를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 때문에 다양한 주제에 맞는 현안들과 의견들을 정리하느라 분주한 모습이다.

재계 한 관계자는 "이번 간담회에서는 모든 기업들에게 공통적으로 해당되는 이슈들이 주로 다뤄질 것으로 보고 있다"며 "개별 기업들의 현안들도 의견 개진 차원에서 나올 수 있지만 주제로 다뤄지기에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간담회 주제에 맞춰 상생협력 방안과 관련투자 등의 발표도 이어지고 있다. 이미 계획됐던 내용들도 있지만 시기적으로 간담회를 앞두고 발표되면서 자연스레 정부의 정책 방향에 대해 긍정적으로 응답하겠다는 신호를 보내는 모습이 연출됐다.

삼성전자는 이미 2·3차 협력사들과 상생협력이 모범사례로 소개될 정도이며 올 하반기 신규 채용 규모를 늘린다는 계획을 밝혔다. 또 계열사인 삼성디스플레이가 27일부터 물대지원펀드를 조성해 업계의 대금 지급 프로세스 개선에 앞장서겠다고 밝히는 등 정부의 정책에 적극 부응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현대차도 앞서 발표한 500억원 규모의 상생협력기금을 통해 1차 위주로 이뤄졌던 상생 활동을 이번에 2·3차 협력사로도 확대한 상태로 SK는 2·3차 협력업체들과 상생 강화를 위해 1600억원 규모의 전용펀드를 조성하고 기존 4800억원 규모로 운영 중이던 동반성장펀드는 1400억원 증액해 6200억원으로 늘린다는 내용을 골자로 한 대대적인 2·3차 협력사 지원방안을 내놓았다.

LG도 최근 발표한 '신 상생협력 체제'에 이어 대표 계열사인 LG디스플레이 향후 3년간 총 17조원 규모의 투자를 단행한다는 내용을 밝히면서 정부의 일자리 창출 정책에 적극 동참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하지만 재계에서는 이번 간담회를 계기로 정부가 채찍과 당근으로 기업을 압박하는 강도가 심화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정부 출범 초기 기업들의 정부 정책에 적극 부응하는 모습은 매번 있어왔던 일이지만 이번 정부에서는 일자리 창출,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최저임금 인상, 산업용 전력요금 인상 등 너무나 많은 기업 관련 정책들을 쏟아 내고 있어 기업들의 부담이 클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대기업 한 관계자는 “이미 정부가 대기업들로부터 돈을 더 걷어 정부 주도로 고용을 창출하고 서민 소득을 늘려 경기를 활성화시키겠다는 결론을 내린 상태에서 대기업들과 만나 무슨 의미있는 대화가 오가겠느냐”면서 “기업 애로사항이나 건의사항이 전달되기보다는 대기업 증세 등 정부 정책에 협조하라는 일방적 대화의 자리가 되는 건 아닌지 우려된다”고 말했다.

여기에 공정거래위원회 등을 통해 기업들의 강도높은 혁신과 개혁을 주문하고 있어 요구할 것은 요구하면서도 압박 수위는 높여가겠다는 것 아니냐는 볼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협력사와의 상생협력을 이야기하면서 정작 정부와 기업간 상생협력은 이뤄지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또 다른 대기업 관계자도 “새 정부 정책 방향에 규제 개혁과 같은 투자 활성화 정책이 전혀 없는데 대통령과 재계 총수 간담회에서 별도의 언급이 있을지 모르겠다”면서 “정부와 경제계의 관계도 ‘기브 앤 테이크’가 돼야 되는데 ‘테이크’ 없이 ‘기브’만 강요받는 상황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홍석 기자 (redston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