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보험사 CEO '보너스 잔치'…새 정부에 제동 걸릴까


입력 2017.07.26 06:00 수정 2017.07.26 10:44        부광우 기자

대형 생손보 8곳 임원 평균 급여 3.1억원 전년비 25% 증가

메리츠화재 김용범 사장 1분기에만 8억원 넘게 받아

文 정부, '금융권 고액 보너스 손보기' 국정 과제로 추진

삼성생명·한화생명·교보생명·삼성화재·현대해상·동부화재·KB손해보험·메리츠화재 등 8개 생·손보사 등기임원 21명이 올해 1분기에 받은 평균 급여는 3억1017만원으로 나타났다. ⓒ데일리안 부광우 기자 삼성생명·한화생명·교보생명·삼성화재·현대해상·동부화재·KB손해보험·메리츠화재 등 8개 생·손보사 등기임원 21명이 올해 1분기에 받은 평균 급여는 3억1017만원으로 나타났다. ⓒ데일리안 부광우 기자

메리츠화재의 최고경영진인 김용범 사장과 이범진 전무이사가 올해 들어 석 달 만에 지난해 연간 연봉을 넘어서는 급여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회사 실적에 따른 두둑한 보너스 덕분으로 국내 주요 대형 보험사 등기임원들과 비교해도 단연 눈에 띄는 액수다.

이런 와중 새 정부가 금융사 경영진들에 대한 고액 성과급 지급 관행에 제동을 걸고 나서면서 앞으로 이 같은 금융사 최고경영자(CEO)의 연봉 고공행진에 실제로 브레이크가 걸릴 지 주목된다.

26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삼성생명·한화생명·교보생명·삼성화재·현대해상·동부화재·KB손해보험·메리츠화재 등 8개 생·손보사 등기임원 21명이 받은 평균 급여는 3억1017만원으로 나타났다. 전년 동기(2억4879만원) 대비 24.7%(6138만원) 증가한 액수다.

보험사별로 보면 메리츠화재가 액수와 증가폭에서 모두 최고를 기록했다. 메리츠화재의 등기임원인 김 사장과 이 전무이사가 올해 1분기에 받은 급여는 평균 8억2280만원으로 1년 전(3억4131만원)보다 141.1%(4억8149만원) 급증했다. 이들의 지난해 평균 연봉이 5억5678만원이었다는 점과 비교하면, 지난 1년 동안 받은 급여 이상을 올해 들어 3개월 만에 받은 셈이다.

메리츠화재 다음으로 현대해상의 정몽윤 회장과 이철영 부회장, 박찬종 사장 등이 받은 평균 보수가 5억8900만원으로 많았다. 지난해 같은 기간 5억3300만원으로 조사 대상 보험사들 중 가장 고액이었지만, 10.5%(5600만원) 늘어나는데 그치면서 메리츠화재 다음으로 내려왔다.

이밖에 교보생명(2억3100만원)과 삼성화재(2억2700만원), 삼성생명(2억1300만원)의 올해 1분기 등기임원 평균 급여가 2억원을 넘기며 뒤를 이었다. 한화생명과 동부화재는 각각 1억9500만원, 1억1553만원을 기록했다. KB손보는 유일하게 8800만원으로 1억원에 못 미쳤다.

메리츠화재의 경영진 급여가 눈에 띄게 불어난 것은 지난해 회사 성적 개선에 따른 상여금 때문으로 해석된다. 최근 1년 사이 등기임원진에 변화가 없어 퇴직급여 등 특별히 발생할 만한 일회성 비용도 없었다.

메리츠화재 측도 올해 초 이 같은 보수 증가는 성과급 반영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메리츠화재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3143억원, 당기순이익은 2372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39.9%와 40.4% 증가했다. 영업수익도 7조1520억원으로 같은 기간 대비 5.3% 늘었다.

문제는 새 정부가 이 같은 금융권 고액 보너스에 문제가 있다고 보고 손을 대기로 했기 때문이다. 이럴 경우 금융사 CEO 등 경영진이 많은 연봉을 받기 위해 단기 실적에 집중하면 소비자 권익 침해와 금융사 건전성 악화 등 폐해로 이어질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실제로 최근 정부가 발표한 100대 국정과제에는 금융권의 단기성과 중심의 고액성과급 지급 관행 해소 방안이 담겼다. 이에 따라 금융위원회는 당장 오는 9월부터 금융회사 지배구조법에 관한 법률 시행령과 감독규정 개정안을 시행하기로 했다. 개정안의 핵심은 이익을 내도 성과급을 4년 동안 나눠 받고 손실이 나면 성과급을 줄이거나 환수하는 내용이다.

한 발 더 나아가 회사에 손실이 발생할 경우 경영진이 금전적 책임을 지지 않는 현실도 개선될 전망이다. 금융당국은 성과급 지급 비율만큼 손실액을 책임지도록 감독규정을 바꾸기로 하고 금융권 의견을 수렴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금융권 관계자는 "새 정부의 기조에 따라 금융사 경영진들이 회사 성적 악화에는 별다른 페널티를 지지 않으면서도 반짝 실적에는 고액의 보너스를 챙기는 모습이 다소 완화될 것으로 보인다"며 "성과에 따른 인센티브 제공을 통해 영업을 독려해 오던 금융사들의 경우, 정부의 눈치에 그 같은 전략을 유지하기 어려워질 것"이라고 말했다.

부광우 기자 (boo073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