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고연봉의 그림자(?)' 정부 코드 못 맞추는 증권사


입력 2017.06.01 06:00 수정 2017.06.01 08:39        김해원 기자

금투업계 정규직 81% 수준…타 업종 비해 계약직 비중 높아

대부분 고연봉 계약직인 탓에 정규직 자발적 전환 난맥상

전 산업분야에서 '문재인 정부'코드에 맞춰 계약직을 정규직으로 전환 바람이 부는 가운데 '고연봉 계약직'이 많은 금융투자업계는 난처한 기색을 보이고 있다ⓒ게티이미지뱅크 전 산업분야에서 '문재인 정부'코드에 맞춰 계약직을 정규직으로 전환 바람이 부는 가운데 '고연봉 계약직'이 많은 금융투자업계는 난처한 기색을 보이고 있다ⓒ게티이미지뱅크

"계약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하고 싶어도 직원들이 거부감을 느끼니 원..."

'문재인 정부'코드에 맞춘 정규직 전환 바람이 전방위로 부는 가운데 '고연봉 계약직'이 많은 금융투자업계는 난처한 기색을 보이고 있다. 다른 금융권과 달리 성과위주의 체계로 대부분 자발적인 계약직을 택하면서 '보여주기식' 정규직 전환 조차 어렵기 때문이다.

1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증권사나 자산운용사들의 리서치센터나 운용력들은 대부분 연봉 계약직으로 운영되고 있다. 금융위원회가 지난해 금융인력을 조사한 결과 금융업 전체 종사자 중 정규직 비중은 91%였지만 증권,선물업은 81.1%로 조사됐다.

증권업의 경우 타 업종에 비해 이직이 잦고 애널리스트, 주식,채권 운용력, 리테일, IB 부문 등 성과에 연동한 고액 연봉 전문계약직이 많은 것으로 풀이된다. 증권사별로 보면 메리츠종합금융증권이 67%, 하나금융투자가 52%, 키움증권이 43%, 한국투자증권이 31%, KB증권이 29% 등의 순이다.

금융투자업계에 계약직이 많은 이유는 과거 증권사 리서치센터가 조사부로 운영됐을 때 타 직원들보다 업무 강도가 센 애널리스트들이 연봉 차등화를 위해 정규직 보다는 계약직으로 전환해 달라는 주장이 잇따랐기 때문이다.

전문 계약직은 장이 좋지 않을 때에는 구조조정의 1순위가 되기도 하지만 장이 좋을 때는 몸 값을 제대로 올릴 수 있는 기회가 된다. 실제로 올초까지 국내 증시가 지루한 박스피 장세에 머물면서 증권사들이 리서치센터의 인력을 축소했다.

지난해 연말 재계약을 하지 못한 애널리스트들도 많았고, 증권사의 규모를 축소하면서 리서치센터의 인력을 다른 부서에 배치하는 경우도 있었다. 지난해 미래에셋대우는 통합법인 출범 이전 96명이던 인력을 80명까지 줄이기도 했고 교보증권(5명)등 연구원이 짐을 쌌다.

이처럼 계약직 전환이 애널리스트들이나 운용력들에게 '양날의 검'으로 작용될 수 있지만 여전히 업계의 공감대는 정규직보다 계약직이다. 특히 최근 코스피가 2300을 돌파하며 고공행진을 하고있는 가운데 금융투자업계도 본격적으로 활기를 띠고 있어 정권 입맛 맞추기식 정규직 전환에는 한계가 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한 자산운용업계 관계자도 "금융투자업계는 자본주의의 꽃으로 개인 성과대로 인센티브를 챙길 수 있는 구조"라며 "개별 성과대로 이직도 잦기 때문에 금융투자업계의 전문인력의 경우는 정규직 정착은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특별한 경우도 있다. 인수합병을 통해서 증권사의 몸집을 불린 경우다. 메리츠종금증권은 1492명의 직원 중 1019명(68.3%)이 비정규직이다. 메리츠종금증권은 지난 2015년 직원 수 250여명의 아이엠투자증권을 인수했고 최근 3년간 565명의 직원을 늘렸다.

최근 3년간 직원이 100명 이상 늘어난 증권사는 대우증권 인력을 흡수한 미래에셋대우, 현대증권과 합친 KB증권 외에는 메리츠종금이 유일하다. 메리츠종금증권 관계자는 "비정규직을 전부 정규직으로 전환하게 되면 비용이 많이 발생해 인력조정을 해야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김해원 기자 (lemir0505@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김해원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