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1000만 시민 서울의 '삶·미래 지도' 제시한 서울시 생활권계획 발표


입력 2017.05.15 15:24 수정 2017.05.15 15:25        박진여 기자

서울시 거대 도시계획, 지역민 생활 고려한 '생활권계획'으로 새롭게 탄생

"세 정부와 사회혁신·도시혁신 박차…새로운 시민의 정부 함께 열겠다"

1000만 시민이 거주하는 대도시 서울의 거대 도시계획이 시민의 시민에 의한, 시민을 위한 '생활권계획'으로 보다 세밀하고 주민친화적인 방향으로 새롭게 전개된다.(자료사진) ⓒ서울시 1000만 시민이 거주하는 대도시 서울의 거대 도시계획이 시민의 시민에 의한, 시민을 위한 '생활권계획'으로 보다 세밀하고 주민친화적인 방향으로 새롭게 전개된다.(자료사진) ⓒ서울시

서울시 거대 도시계획, 지역민 생활 고려한 '생활권계획'으로 새롭게 탄생
"세 정부와 사회혁신·도시혁신 박차…새로운 시민의 정부 함께 열겠다"


1000만 시민이 거주하는 대도시 서울의 거대 도시계획이 시민의 시민에 의한, 시민을 위한 '생활권계획'으로 보다 세밀하고 주민친화적인 방향으로 새롭게 전개된다. 시민이 '우리 동네'에서 직접적으로 느낄 수 있는 생활의 변화 발전을 꾀하고, 나아가 서울의 지역균형성장을 도모하기 위한 서울의 새로운 도시계획체계다.

서울시는 15일 지역별 자족성을 강화하고 서울의 지역균형성장을 이끌어나가기 위해 '서울시 생활권계획'을 발표했다. 생활권계획은 서울 전역을 5개 대(大)생활권과 116개 지역단위 소(少)생활권으로 세분해, 주민 참여를 기반으로 시민의 생활과 지역과제 해결방안을 담아낸 지침서다.

이번 생활권계획안을 통해 △53지구중심 신규 지정을 통한 중심지 체계 완성 △상업지역 확대로 지역 활성화 △생활권계획(5개 권역·116개 지역) 수립 등 균형성장 기반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2013년 '미래 100년'을 내다보는 도시계획 토대를 마련해 선포하고, 주민 눈높이에서 시민 삶과 균형된 성장을 다루는 생활권계획을 약속했다. 이후 2030 서울플랜, 도시계획 현장 등을 전개하며 도시계획의 토대를 마련했다. 이번에는 특히 지역생활권계획안을 통해 주민의 직접 참여를 확대하는 상향식 도시계획을 완성하겠다는 방침이다. 여기에 시·자치구를 비롯해 각 지역 전문가인 주민 6000여 명이 직접 참여한 점이 특징이다.

우선 당초 2030 서울플랜에서 제시한 '3도심·7광역중심·12지역중심'에 새롭게 더해 53지구중심을 추가 설정, 서울의 중심지 체계를 최종 완성했다. 이중 상대적으로 소외된 동북·서북·서남권에 집중 지정해 서울 구석구석 균형성장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이 가운데 중심지 상업지역의 강남·북 불균형을 해소하고 지역활성화 수단으로 2030년까지 서울광장 145개 규모(192만㎡)의 상업지역을 추가로 확대 지정한다. 이때 인구, 일자리, 기존 상업지역 면적 등을 고려해 상대적으로 낙후·소외됐던 동북, 서남, 서북권 위주로 지정하고, 이용이 저조한 상업지역의 활성화를 적극 유도하기 위해 상업지역 내 주거용적률을 400%까지 일괄 허용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1000만 시민이 거주하는 대도시 서울의 거대 도시계획이 시민의 시민에 의한, 시민을 위한 '생활권계획'으로 보다 세밀하고 주민친화적인 방향으로 새롭게 전개된다. ⓒ서울시 1000만 시민이 거주하는 대도시 서울의 거대 도시계획이 시민의 시민에 의한, 시민을 위한 '생활권계획'으로 보다 세밀하고 주민친화적인 방향으로 새롭게 전개된다. ⓒ서울시

또한 서울을 도심권·동북권·서북권·서남권·동남권 5개 대생활권으로 구분하고, 지역특화 및 자치구간 공동 대응이슈 등 균형발전을 위해 주거·교통·산업·일자리·관광·복지·교육 등 권역별 공동이슈별 종합계획을 수립한다. 이는 지역 생활권계획을 위해 서울 전역을 116개로 나눠 지역 고유의 특성과 주민들의 구체적 요구를 담아낸 '지역 맞춤형 도시계획'으로 전개된다.

시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서울시 생활권계획안에 대해 오는 18일 전문가·시민 공청회를 시작으로 25개 자치구별 설명회를 개최해 시민 의견을 폭넓게 수렴한다는 방침이다. 이후 시의회 의견청취(6월), 국토교통부 등 관계기관 협의(7월), 도시계획위원회 심의(8월)를 거쳐 오는 10월 최종 확정한다는 계획이다.

박원순 시장은 "그동안 '도시계획'하면 전문가들에 의한 대규모 개발 계획이 떠올랐지만 서울시는 도시계획에 대한 기존 통념과 관성을 완전히 뒤엎고, 도시계획의 새로운 역사를 쓰고 있다"며 "이제부터 '서울의 도시계획' 하면 시민의 삶과 미래가 떠오를 수 있도록, 이번 생활권계획이 서울시민의 일상생활을 종합적으로 담은 삶의 지도이자 미래 서울을 향해갈 수 있는 미래지도로 자리잡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새 정부와 사회혁신·도시혁신에 박차를 가하며 새로운 시민의 정부를 함께 열어가겠다"고 다시 한번 강조했다.

박진여 기자 (parkjinyeo@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박진여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