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기대반 우려반' 전경련 혁신...재계 목소리 제대로 낼 수 있을까


입력 2017.03.27 15:42 수정 2017.03.27 15:51        이홍석 기자

4대그룹 빠진 한기련...대한상의와 역할 중첩 가능성도

경영이사회 정착 여부도 관건...기대만큼 우려 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24일 정경유착 근절, 투명성 향상, 싱크탱크 역할 강화를 골자로 한 혁신안을 내놓았지만 조직 규모 축소로 인한 역할 부재 및 타 경제단체와의 차별성 감소 우려가 나오고 있다. 사진은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 전경.ⓒ연합뉴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24일 정경유착 근절, 투명성 향상, 싱크탱크 역할 강화를 골자로 한 혁신안을 내놓았지만 조직 규모 축소로 인한 역할 부재 및 타 경제단체와의 차별성 감소 우려가 나오고 있다. 사진은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 전경.ⓒ연합뉴스

4대그룹 빠진 한기련...대한상의와 역할 중첩 가능성도
경영이사회 정착 여부도 관건...기대만큼 우려 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24일 정경유착 근절, 투명성 향상, 싱크탱크 역할 강화를 골자로 한 혁신안을 내놓았지만 조직 규모 축소로 인한 역할 부재 및 타 경제단체와의 차별성 감소 우려가 나오고 있다.

27일 재계에 따르면 전경련이 한국기업연합회로의 명칭 변경과 함께 조직 규모를 대폭 축소하는 혁신안을 발표하면서 대기업와 재계의 목소리를 담는 경제단체라는 본래의 역할마저 줄어드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최순실게이트로 불거진 정경유착의 창구 역할을 했다는 오명에서 벗어나야 하는 상황에서 조직 규모 축소는 불가피할 것으로 이미 예상돼 온 터다.

여기에 의사결정구조를 이사회 중심으로 변경하고 이사회 산하에 경제정책위원회 등 분과별 위원회와 협의회를 활성화해 회원사들을 대상으로 한 소통 기능과 민간경제외교 역할에만 집중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또 산하의 한국경제연구원과 함께 정책연구 등 싱크탱크 기능을 강화하면서 조직의 성격이 이전과는 크게 달라질 전망이다.

하지만 이러한 변화가 자연스레 기존 조직의 역할이 달라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이를 테면 그동안 정부를 상대로 재계와 대기업들의 목소리를 담아내던 역할은 부재 상태가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또 삼성·현대차·SK·LG 등 4대 그룹이 탈퇴한 상황에서 조직이 재계의 목소리를 대변하지 못하게 될 경우 10대 그룹이나 30대 그룹에서 회원사들의 추가 탈퇴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러한 역할 부재는 대한상공회의소와 역할 중복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전경련의 성격이 대기업 중심에서 ‘기업’ 중심으로 이동하면서 대기업에서 중소상공인까지 회원사로 두고 있는 대한상공회의소와 역할이 중첩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대한상의는 회원사가 대기업에서 지역 중소상공인까지 모두 망라하고 있다. 따라서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상충되는 사안이 발생할 경우, 대기업만을 대변하기에는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신설되는 경영이사회도 기대만큼 우려도 만만치 않다. 조직 명칭 변경과 함께 이번 혁신안의 아이콘이 됐지만 성공 여부는 아직 미지수다. 경영이사회는 대기업 오너급이 아닌 주요 회원사의 전문경영인과 사외이사 등 외부 명망가를 포함, 약 20명 정도로 구성될 예정이다.

이들은 자금 집행 등 주요 사안들에 대한 회원사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회의를 통해 각종 현안을 처리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정경유착 근절과 투명성 강화를 위해 대기업 총수들이 참여해 온 기존 회장단회의를 대신해 중요 의사 결정기구 역할을 맡게 됐지만 오너들이 빠진 전문경영진과 사외이사 중심의 기구가 어느 정도 힘 있는 결정을 내릴 수 있을지가 관건이다.

특히 찬반이 엇갈리는 민감한 이슈에 대해서 회장단회의처럼 과단성 있는 결정권한을 부여받을 수 있을지 의문이라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경제정책위원회 등 분과별 위원회·협의회가 구성돼 경영이사회의 판단을 지원하게 되지만 이는 전문가들의 의견 제시 수준이어서 결국에는 전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강력한 권한이 경영이사회에 주어져야 하는데 미지수라는 것이다.

경영이사회가 제대로 조직에 정착하지 못하게 되면 결국 이름을 제외하곤 바뀐 것이 없다는 비판이 제기되면서 해체 여론이 더욱 커질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상황이다.

재계 한 관계자는 "향후 전경련의 역할에 대해서는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하지만 이제 막 혁신안을 발표한 만큼 혁신과 변화를 좀 더 지켜보자는 게 중론"이라고 말했다.

이홍석 기자 (redston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