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허창수 전경련 회장 유임...결국 인물난에 불가피한 선택


입력 2017.02.24 10:11 수정 2017.02.24 11:05        이홍석·이광영 기자

최순실게이트 부정적 이미지로 모두 고사...대안 없어

일단 위기 넘겨... 혁신안에 따라 운명 다시 한 번 기로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 전경.ⓒ연합뉴스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 전경.ⓒ연합뉴스
최순실게이트 부정적 이미지로 모두 고사...대안 없어
일단 위기 넘겨... 혁신안 따라 운명 다시 한 번 기로

허창수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이 결국 유임됐다. 지난 2011년부터 전경련 수장 자리를 키져온 허 회장은 네 번째 연임을 하게 됐다. 허 회장의 유임으로 전경련은 해체 위기에서 벗어났지만 혁신안에 따라 운명이 다시 한번 기로에 설 전망이다.

전경련은 24일 오전 11시30분 서울 여의도 전경련 컨퍼런스센터에서 제 56회 정기총회를 열고 허 회장을 차기 회장으로 추대하는 안건을 통과시킬 예정이다.

전경련은 허 회장의 유임 이유에 대해 “다른 어떤 분보다 전경련 상황에 대해 잘 알고, 사태를 가장 잘 수습할 수 있는 분“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이미 사직서를 제출하고 이 날 총회에서 이임사를 발표할 것이라고 예상됐던 인물이 다시 유임된 것은 사실상 인물난이 초래한 결과로 풀이된다.

전경련은 그동안 세번째 연임한 허 회장이 사직 의사를 밝히면서 다양한 인물을 후보군에 올려놓고 회장으로 물색해 왔다. 그러나 최순실게이트로 부정적 이미지가 강해진 전경련을 맡는 것에 부담이 커져 모두 고사하면서 결국 허 회장 유임밖에 선택지가 없었다는 것이 재계 안팎의 중론이다.

그동안 손경식 CJ회장과 류진 풍산 회장, 김윤 삼양홀딩스 회장 등 기업인뿐만 아니라 윤증현 전 기획재정부 장관 등 경제관료까지 후보로 거론됐지만 당사자들이 모두 고사하면서 무산되면서 구인난을 겪어 왔다.

허 회장은 지난 6년간 세 차례 전경련 회장직을 연임했다. 최순실 게이트 이후 4대 그룹이 전경련을 탈퇴한 데다 존폐의 갈림길에 선 전경련을 살리기 위해 다른 대안이 없었다는 게 재계 안팎의 평가다.

여기에 허 회장이 회장직을 수락한 또다른 이유는 불명예 퇴진에 대한 부담감 때문으로 풀이된다. 최순실게이트로 전경련에 부정적 이미지가 덧씨워진 상태에서 회장직을 그만둘 경우, 사실상 불명예 퇴진이란 딱지가 따라붙을 수 밖에 없다. 따라서 허 회장이 현재의 위기상황을 끝까지 책임지고 사태수습과 쇄신을 통해 어느정도 정상화시킨 후 명예로운 퇴진을 하겠다는 결단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

재계 한 관계자는 “결국 허 회장이 인물난으로 어쩔수 없는 선택을 한 것”이라면서도 "조직을 잘 아는 사람이 다시 맡은 만큼 강력한 의지만 있다면 혁신의 결과물은 더 좋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어찌됐든 허 회장의 유임으로 전경련은 일단 해체 위기에서는 벗어나게 됐다. 그동안 세 번 연임하면서 현안을 잘 아는 인물이 조직의 수장을 맡게 된 점도 전경련으로서는 긍정적인 부분이다.

하지만 전경련 앞에는 험로가 예상되고 있다. 이미 삼성·현대차·SK·LG 등 4대 그룹의 잇달아 탈퇴하면서 전체 회비 절반 이상이 빠져나가게 된 상황으로 자금 사정에 빨간불이 켜진 상황이다.

전경련은 이미 지난 17일 비공개로 개최한 이사회에서 올해 예산 규모를 전년대비 40%나 삭감한 235억원으로 책정한 상태다. 하지만 4대 그룹 탈퇴에 이어 회원사들의 추가 탈퇴 가능성도 남아 있어 이를 확보하기가 쉽지 않을 전망이다.

최순실게이트로 불거진 반기업정서가 커지면서 전경련에 대한 시선이 곱지 않은 상황도 부담이다. K스포츠·미르재단의 창구 역할을 하면서 '정경유착' 대표 단체라는 이미지가 굳어져 이를 해소하기가 좀처럼 쉽지 않을 전망이다.

이 때문에 이 날 총회에서 출범한 혁신위원회가 실질적인 역할과 기능을 할 수 있을지가 매우 중요해진 상황이다. 혁신위원회는 향후 조직 혁신안을 마련할 계획이어서 이에 따라 전경련의 운명은 다시 한 번 갈림길을 맞을 전망이다.

허 회장의 유임으로 쇄신안 마련에 속도가 불을 전망이다. 전경련이 지난해 말 회계법인에 맡긴 쇄신안 보고서도 최근 나온 것으로 확인됐다.

쇄신방향이 그동안 언급된 바 있는 미국의 경제단체인 '비즈니스라운드테이블(BRT)'이 아닌 재계 ‘싱크탱크’로 방향을 전환하는 것도 이러한 혁신의 일환이라는 것이 전경련의 설명이다.

특히 현재와 같은 형태의 경제단체로 남게 되면 부정적인 여론을 잠재우기 어렵다고 판단해 싱크탱크 전환을 선택한 것이라는 게 재계의 분석이다.

전경련 관계자는 “정경유착을 근절하겠다는 허 회장의 의지대로 전경련은 BRT가 아닌 싱크탱크로서 역할을 하기로 결단을 내렸다”면서 “전문성을 극대화해 경제활성화에 앞장설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이홍석 기자 (redston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