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데스크칼럼] 지금 대한민국에 절실한 것은 경제 리더다


입력 2017.01.31 06:00 수정 2018.01.25 17:08        조태진 기자 (tjjo77@dailian.co.kr)

유권자들 경제 리더십 갖춘 후보 선별할 경험조차 갖지 못해

전대미문 경제환경과 IT의 대변혁…19대 대통령은 경제 리더여야

시장 친화적 마인드 기반한 경제적 소통 능력 발휘가 먼저

세계 유례없는 국내총생산 추락의 위기 속에 19대 대통령의 경제 리더십이 도마 위에 올랐다. ⓒ데일리안 세계 유례없는 국내총생산 추락의 위기 속에 19대 대통령의 경제 리더십이 도마 위에 올랐다. ⓒ데일리안

이야기에 앞서 궁금한 것이 있다. 역대 대한민국 대통령에게 경제 분야만 놓고 점수를 매기라고 한다면 여러분은 몇 점을 줄 수 있을까. 한참 생각해야 하는 번잡함을 덜어주기 위해 경제 마인드를 가장 잘 갖춘 대통령을 꼽아보라고 한다면 대답이 쉬워질까.

이념 갈등 극복, 통일, 군부 타도, 지역주의 타파…. 이 나라를 살아가는 대통령 선거 유권자들은 후보들의 유세 기간에도 선택의 순간에도 머릿속에 경제를 떠올릴 여지가 많지 않았던 이유들이 적지 않다.

역대 대통령들에게서 경제 전문가를 떠올리는 것이 극히 어려운 것은 이런저런 시대적 요구 때문이었을지 모른다. 그렇다해도 경제개발 5개년 계획으로 ‘한강의 기적’을 일군 고 박정희 대통령, 저유가 저물가 저금리 ‘3저 호황’에 힘입어 선진국 반열의 꿈을 갖게 한 전두환 대통령을 경제 리더로 특화시키는 이도 거의 없다.

IMF외환위기 초유의 사태를 겪으면서 비로소 경제가 정권 재창출 중요 요소로 각인되기 시작해서 일까. 허나 당시 사태 수습에 나선 고 김대중 대통령도 일 잘한다는 소리만 듣고 일면식도 없는 이규성씨를 초대 재경부장관에 임명할 만큼 경제 참모는 두텁지 못했다.

그 이후에 대한민국을 이끄는 리더가 경제에 대해 개안을 한 것은 아니다. 그런 점을 차치하더라도 경제질서가 근본적으로 바뀌려하는 찰나 과거의 리더는 과거로 끝나야 한다. 착오에 대한 반성을 용인할 만큼 주변 환경이 녹록치 않아졌다.

정유년은 한국 경제에 단순한 신년이 아니다. 강대국 간 힘겨루기, 북한의 도발, 내부의 갈등 격화 등 여러운 난제를 한꺼번에 풀어야하는 중차대한 한 해다.ⓒ데일리안 정유년은 한국 경제에 단순한 신년이 아니다. 강대국 간 힘겨루기, 북한의 도발, 내부의 갈등 격화 등 여러운 난제를 한꺼번에 풀어야하는 중차대한 한 해다.ⓒ데일리안

너무나 빨리 추락하는 생산성…고려의 여지가 없다

트럼프의 미국과 시진핑의 중국이 대한민국 경제에 햇살을 비출 요인이 아니라는 것은 이제 주지의 사실이다. 문제는 우리의 맨얼굴이다.

저성장 시대가 고착화되면서 한국 경제 안정을 통한 생산성 복구 문제는 발등의 불이 됐다.

지난 1970년대 10%를 넘나들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2%대를 유지하기도 벅찬 상태가 됐다. 이렇게 급속도로 내리막을 걷는 경우는 세계 어디를 둘러봐도 극히 드물다.

같은 기간 전 세계 평균 GDP성장률은 7% 수준에서 2.5% 정도로 미끄러졌지만 대한민국은 평균치를 깎아 먹는 국가 중 하나일 뿐이다.

문제는 미래다. 세계 강대국 간 힘싸움에서 허덕거릴 처지에서 북한의 핵 리스크는 당장이라도 무력 충돌이 불거진다 해도 무리가 없을 수준이다. 제4차 산업혁명의 기운이 도처에 스멀거리지만 납득할만한 대비책은 없다.

몇 년 뒤 지금의 우리를 반추해보면 “그 때가 좋았어”라고 말할지도 모른다. 그래서 차기 대통령은 사회통합으로 생산성을 향상시켜 잠재성장률을 끌어올려야 한다. 제19대 대통령 대선 조사에서 설문 대상 국민의 과반수 이상이 경제 해결이 가장 시급한 문제라고 응답했다는 사실을 가슴속에 새겨야 한다.


전문성보다 소통이 더 중요하다

경제 대통령과 경제 리더는 다른 의미다. 차기 대통령 후보를 포함해 지금껏 수 많은 대선 후보들이 경제 대통령을 강조했지만, 지금 우리가 기억하는 인물이 있는지 자문해보고 싶다.

현재 경제를 강조하는 대선 후보는 많다. 경제 학자 출신임을 강조하며 유일한 경제 마인드를 갖춘 후보임을 부각시키는가 하면, 이 와중에 신년 벽두 미국까지 날아가 제4차 산업혁명에 대비할 수 있는 ‘예비 대통령’이 본인 뿐이라는 메시지를 주기도 했다.

진정 중요한 것은 경제 지식 내지는 감각이 아니다. 그것은 오로지 본인이 갈고 닦아 체화시킨 전문성 또는 가치관일 뿐이다. 리더는 본인의 능력을 모두와 공유할 수 있는 소통을 최우선시 해야 한다.

주제가 어땠든 붙통이 가져오는 불행한 결말은 현 정권을 끝으로 더 이상 반복해서는 안 될 일이다.

다가오는 새로운 경제 질서에 맞도록 산업구조를 가능한 한 빠르게 구조조정 하는 유연함을 발휘해야 한다는 생각이다. 모든 것을 뒤집을 필요는 없다. 조상들이 되뇌인 ‘온고지신’의 마인드를 재해석하는 수준으로도 충분하다.

소득 양극화를 향한 속도를 줄이는 것 자체로 의미가 있다. 그러면서 미국과 중국의 경제 전쟁에서 우리 국익을 극대화해야 한다. 더 중요한 것은 이런 능력을 갖춘 대통령을 우리가 뽑을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올해 대선의 그날까지 그럴 수 있기를 바란다.

조태진 기자 (tjjo77@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조태진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