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산업경쟁력강화]조선업, 올해도 수주가뭄…도크 3개·인력 1만4천명 줄인다


입력 2017.01.25 10:25 수정 2017.01.25 10:58        박영국 기자

자구계획 총 10조3000억원 중 80% 이행 목표

현대중공업 울산조선소 전경.ⓒ현대중공업 현대중공업 울산조선소 전경.ⓒ현대중공업

지난해 대규모 구조조정을 시행한 조선업계가 올해도 추가로 생산설비 및 인력 감축에 나선다.

정부는 지난해 수립된 대형 조선 3사의 자구계획(총 10조3000억원) 이행률을 지난해 42%에서 올해 80% 이상으로 높이는 한편, 도크 3개와 직영인력 1만4000명을 구조조정하는 등 건조능력도 추가 축소할 방침이다.

25일 제9차 산업경쟁력 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발표된 ‘업종별 경쟁력 강화방안 2017년 액션플랜’에 따르면, 올해 한국 조선업 수주량은 320만CGT로 추산되며, 이는 2011~2015년 평균인 1314만CGT에 크게 못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수주잔량도 지난해 말 1989만CGT에서 올해 말 1098만CGT로 반토막 수준으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돼 유동성 악화는 물론, 유휴 도크, 유휴 인력 증가로 구조조정 압박이 가중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지난해에 이어 대형 조선 3사의 도크 및 인력을 중심으로 건조능력 축소가 추진된다. 도크는 지난해 3개에 이어 올해 추가로 3개가 축소된다. 현대중공업이 도크 2개를 가동 중단하고 삼성중공업은 플로팅 도크 1개를 매각할 방침이다. 내년에도 추가 1개 도크 감축이 예정돼 있다.

인력은 대형 조선 3사 직영인력만 1만4000명이 구조조정된다. 지난해 구조조정된 6713명의 2배를 넘는 수준으로, 올해 구조조정까지 마무리되면 3만9000명만 남게 된다.

유동성 확보도 계속해서 추진된다. 당초 총 10조3000억원의 자구계획 중 지난해 이행분을 제외한 6조원 중 4조원을 올해 이행해 이행률 80%를 달성한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대우조선해양은 생산설비 외 모든 자산 매각, 인건비 절감 등을 통해 유동성 확보에 총력 대응하고, 해양플랜트 사업도 점진적으로 축소하기로 했다. 자산 매각은 마곡부지와 복합업무단지, 자회사는 웰리브 등 5개사가 매각되며, 분사와 무급휴직 등을 통해 인건비도 절감한다.

현대중공업은 하이투자증권과 부동산, 삼성중공업은 호텔과 R&D센터 등 비핵심자산 매각을 추진한다.

조선 기자재 업체의 경우 사업다각화와 15개사 이상 사업재편을 위해 기업활력법, R&D, 사업화지원, 사업전환지원자금(중기청), 지방투자촉진보조금 등 ‘5대 지원 패키지’를 제공하고, 경남, 부산, 울산, 전남, 전북 등 7개 지역에 현장지원반을 설치한다.

수주절벽 대응 차원에서는 1조5000억원 규모의 군함 2개 사업을 발주하고, 선박펀드를 통해 10척 규모의 신조발주를 상반기 중 추진한다.

선박펀드의 경우 선박신조지원프로그램(2조6000억원), 에코쉽펀드(1조원), 여객선 현대화펀드(1000억원) 등이 추진되며, 선사 재무구조 등 프로그램 적용 조건을 완화하고 발주계약을 조기에 체결할 예정이다.

또한 해운-조선 상생 협의체를 매월 1회 개최해 ‘친환경 선박 전환 촉진사업 등 신조 지원사업을 발굴하고 업계 애로를 해소할 방침이다.

조선업 경쟁력 강화 차원에서는 올해 중 1800억원 규모의 R&D 투자가 이뤄지며, 공공기관을 통해 LNG추진선 4척이 시범 도입된다. 스마트십 기자재 시험평가센터 사업, 선박 ICT융합 장비 실증센터 구축 사업 등도 추진된다.

조선업 구조조정에 따른 실업 및 지역경제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도 마련된다. 대형 조선 3사의 추가지정 여부가 1분기 중으로 결정되며, 오는 6월 30일 만료되는 기간도 연장하는 방안이 검토된다.

조선업체들이 인력감축 대산 무급휴직을 시행할 경우 지원금 지급요건을 완화하며, 업체별 고용상황…재취업 현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특별연장급여 지급 여부도 검토한다.

중소 조선사 및 기자재 업체, 지역소상공인 등의 경영안정 대책으로는 중소기업 정책자금(5400억원), 특례보증(400억원) 지원 방안이 마련돼 있다. 또한 업종전환‧사업다각화 기업에 대해서는 R&D, 투자, 사업전환 자금 등 2400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박영국 기자 (24pyk@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