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특검발목' 삼성, 이재용 구속시 주요사업 타격


입력 2017.01.15 10:00 수정 2017.01.15 15:43        이홍석 기자

기업인수·지분투자·M&A 위축 우려...해외 사업 휘청

박영수 특별검사팀이 ‘최순실게이트’와 관련,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에 대한 구속영장 청구 여부를 놓고 고심하고 있는 가운데 재계와 삼성에서는 대표 대기업 그룹 오너의 구속으로 국내외 비즈니스에 차질을 빚을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사진은 지난 13일 오전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특검의 22시간 조사를 받고 대치동 특검사무실에서 나와 귀가하기 위해 차에 오르는 모습.ⓒ연합뉴스 박영수 특별검사팀이 ‘최순실게이트’와 관련,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에 대한 구속영장 청구 여부를 놓고 고심하고 있는 가운데 재계와 삼성에서는 대표 대기업 그룹 오너의 구속으로 국내외 비즈니스에 차질을 빚을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사진은 지난 13일 오전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특검의 22시간 조사를 받고 대치동 특검사무실에서 나와 귀가하기 위해 차에 오르는 모습.ⓒ연합뉴스
박영수 특별검사팀이 ‘최순실게이트’와 관련,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에 대한 구속영장 청구 여부를 놓고 고심하고 있는 가운데 인신구속에 대한 재계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15일 삼성과 재계는 이르면 16일 결정될 것으로 보이는 이 부회장에 대한 구속영장 청구 여부에 주목하고 있다.

특검은 지난 12일 오전 이 부회장을 불러 22시간 고강도 조사를 펼친 후 구속영장 청구 여부를 포함한 신병처리 방침을 아직 결정하지 못하고 있다. 당초 이르면 14일 발표할 예정이었지만 향후 특검 수사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안인 만큼 신중에 신중을 기하고 있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재계와 삼성에서는 대표 대기업 그룹 오너의 구속으로 국내외 비즈니스에 차질을 빚을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특히 이미 출국금지로 발이 묶인 글로벌 비즈니스에서 인신구속까지 이뤄지면 손까지 묶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 경우, 해외 비즈니스 현장에서 이 부회장의 부재가 장기화되면서 삼성의 글로벌 사업도 타격을 받을 전망이다. 특히 지난해 활발히 기업 인수 및 지분투자를 단행하면서 글로벌 경영 보폭을 넓혀 오던 터라 악재의 강도는 더욱 클 전망이다.

주력계열사인 삼성전자는 지난해 미국 전장부품업체 하만을 비롯, 총 8개 기업에 대한 인수 및 지분투자를 단행했다.

지난해 6월 미국 클라우드서비스업체 조이언트를 시작으로 애드기어(스마트TV용 데이터관리). 데이코(프리미엄 가전), 비브랩스(AI플랫폼 개발), 하만(전장부품), 뉴넷캐나다(문자메시지 기술) 등을 차례로 인수했다.

또 7월 중국 최대 전기차 업체 비야디(BYD)에 지분 투자를 했고 11월에는 QD비전의 특허자산을 인수했다. 지난해 이들 8개 기업에 쏟아 부은 금액만도 약 10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지난 2014년 스마트싱스 등 5개 회사를, 2015년 루프페이 등 3개 회사를 각각 인수한 것에 한 발 더 나아간 공격적인 행보였다.

올해는 해외 사업에 더욱 적극 나설 것으로 예상됐던 터라 이 부회장의 부재로 인한 글로벌 비즈니스 타격을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는 것이 재계 안팎의 의견이다. 또 이 부회장의 신병 처리가 향후 수사를 앞두고 있는 다른 대기업 오너들에 대한 처리 기준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 우려하고 있다.

특히 최근 하만의 소액주주들이 삼성전자와의 인수합병(M&A) 추진 과정에서 문제를 이유로 집단소송을 제기하면서 이에 대한 대응도 필요한 상황이다. 소액주주들은 이사진이 회사의 가치를 저평가하고 불리한 협상 조건을 감수해 주주들의 이익을 침해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 미국 트럼프 행정부 출범으로 인한 보호무역주의 강화, 미-중간 통상마찰 가능성이 부각되고 있는 가운데 유럽에서도 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브렉시트) 협상, 프랑스(대선)·독일·네덜란드(총선)의 정치 일정으로 대외변수로 인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지만 아예 손을 놓고 있는 상황이다.

이미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과 마윈 중국 알리바바그룹 회장 등이 트럼프 대통령 당선자와 만나는 등 일본과 중국 기업들이 발 빠르게 미국 정부와의 스킨십을 강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 기업들만 뒤처질 수 있는 상황이다.

재계 한 관계자는 “올해 글로벌 경기 침체 회복이 어려운 가운데 이를 둘러싼 환경도 악화되고 불확실성도 커질 것으로 보며 기업들의 대응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이라며 “기업인들에 대한 수사와 사업처리에서는 이러한 부분이 꼭 고려돼야만 한다”고 강조했다.

이홍석 기자 (redston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