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기자의눈]"리콜은 나쁜 것?"…부정적 인식 이제는 바뀌어야


입력 2016.06.29 11:38 수정 2016.06.29 16:17        임소현 기자

이케아, 3일 간격 두번의 리콜…본사 차원 자체 결정

기업 선제적 조치 독려하고 리콜 부정적 인식 없애야

이케아, 3일 간격 두번의 리콜…본사 차원 자체 결정
기업 선제적 조치 독려하고 리콜 부정적 인식 없애야


이케아코리아 홈페이지 제품 리콜 안내 페이지 캡처. 이케아코리아 홈페이지 제품 리콜 안내 페이지 캡처.

"리콜을 실시한다고 하면 일단 해당 기업에 대한 안 좋은 인식부터 생기는 것 같아요. 그런데 안 하는 것도 문제죠. 안 하다 사고로 일이 커지면 이미지 타격이 어마어마하니까요."

한 유통사 관계자의 말이다. 이처럼 국내에서는 기업들이 '해도 욕 먹고 안 해도 욕 먹는' 제도가 있다. 미국 등 선진국에 비해 늦게 국내에 도입된 이 제도는 바로 리콜 제도. 리콜은 제품의 결함을 회사 측이 발견하면 생산일련번호를 추적·소환해 해당부품을 점검·교환·수리해 주는 소비자보호제도다.

분명히 소비자보호제도의 일환이지만 국내 소비자들은 리콜에 대한 상당한 반감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리콜 소식이 자주 들려오는 기업은 '나쁜 기업' '제품을 못 만드는 기업' 쯤으로 여기는 인식이 팽배해있다. 하지만 리콜을 하지 않다가 문제가 지적되는 기업에게도 '늑장 대응'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격'이라며 비판하기 일쑤다. 이는 분명히 모순(矛盾)이다.

리콜 제도의 역사는 196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소비자 운동가로 알려진 랄프 네이더 변호사가 GM이 출시한 '쉐보레 코베이어'의 엔진 결함을 지적하고 나서자 미국에서 자동차 안전법이 제정됐다. 국내 역시 리콜은 대부분 자동차업계의 '핫이슈'다. 1991년 처음 국내에 도입된 것도 자동차에 대한 리콜제도였고 이후 1996년에서야 식품 등으로 확대됐다.

이렇게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한 제도인 리콜의 영역이 확대된 지 20여년이 지났지만 소비자 인식은 아직 '제자리걸음'이다. 리콜을 방지하기 위한 기업들의 자구책도 필요하지만 소비자 인식 개선이 없다면 리콜이 보편화되긴 힘든 실정이다.

사실상 기업이 리콜을 결정하기까지는 상당한 '용기'가 필요하다. 소비자 편리성을 고려한 절차를 고심하고 막대한 손해를 감수해야 한다. 여기에 리콜로 입을 이미지 타격까지 고려한다면 기업 입장에서도 리콜은 안 하는 것이 최선이다. 특히나 리콜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강한 국내 기업이 사소한 결함이 발견됐을 때 리콜을 망설이는 것은 당연지사일지도 모른다.

이 가운데 최근 이케아가 3일 간격으로 2번의 리콜을 진행했다. 모두 글로벌 본사 차원에서의 리콜 결정이다. 비교적 국내보다 리콜이 보편화돼있는 해외에서는 조그마한 문제가 발생할지라도 리콜을 시행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이케아는 리콜 정책에 있어 선제적 조치를 원칙으로 하고 있다. 사고가 직접 발생하지 않더라도 사소한 발생 위험이 발견되는 즉시 리콜 결정을 내리는 것이다.

지난 24일 이케아는 '파트룰 안전문' 전제품에 대해 갑작스럽게 열리는 경우가 발생했다며 리콜 시행을 알려왔다. 당시 마리아 퇴른 어린이 이케아 비즈니스 부문 매니저 대행은 "이케아는 어린이 안전과 관련해 엄격한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안전문 제품은 안전성 검사에서 승인을 받았지만 출시 이후 제3기관에서 잠금장치 안전성에 대한 위험요소가 발견되자 이케아는 곧바로 리콜을 결정한 것이다.

이어 3일만인 27일 이케아에서는 또 한번의 리콜이 시행됐다. 이케아의 쇼클라드 뫼르크·쇼클라드 뫼르크 70% 제품에 대한 리콜 조치다. 이케아에 따르면 이 제품 자체에는 문제가 없다. 하지만 우유와 헤이즐넛 포함 가능성에 대한 언급이 누락돼 이로 인한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우려가 나오자 이케아는 리콜을 실시키로 했다.

특히 이 두번째 리콜은 어떤 기관의 지적도 없었던 자체 결정이다. 이케아 관계자는 "제조과정의 문제는 발견되지 않았지만 우유와 헤이즐넛을 해당 제품 제조 공장과 같은 공장에서 제조하고 있어 함유 가능성을 언급했어야 했지만 성분 표기 사항에 누락돼 선제적 조치를 취했다"고 설명했다.

일각에서는 이를 두고 '처음부터 제품을 잘 만들면 되는 것 아니냐' '안전성 검사가 미흡했던 것이 아니냐'고 지적한다. 하지만 이는 기업의 모든 제품 출시를 막겠다는 소리밖에 되지 않는다. 제품 제조·검증 과정에서의 노력도 문제지만 출시 후에 지속적으로 검증을 진행하고 그에 맞는 대응을 하는 것도 기업의 의무다.

리콜을 방지하기 위해 기업들이 더욱 제조 및 검증 과정에 신경써야 함은 분명하다. 하지만 아무도 문제를 지적하지 않았지만 자체 검증에서 발견된 문제를 '자진납세'하는 기업의 용기와 빠르게 리콜을 시행하는 결단력에는 박수를 보내줘야 하지 않을까. 리콜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커질수록 국내 기업들이 리콜에 소극적일 수밖에 없다. 이는 소비자 스스로 문제를 키우는 격이다.

임소현 기자 (shlim@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임소현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