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새누리 조기 원내대표 경선, 권력지도 벌써 '요동'


입력 2015.01.23 16:21 수정 2015.01.23 16:32        조성완 기자

당규상 29일엔 치러야…20대 총선까지 임기 유지 '막중한 책임'

국무총리로 내정된 이완구 새누리당 원내대표가 23일 오전 국회에서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를 예방해 포옹을 나누고 있다. ⓒ데일리안 국무총리로 내정된 이완구 새누리당 원내대표가 23일 오전 국회에서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를 예방해 포옹을 나누고 있다. ⓒ데일리안

이완구 새누리당 원내대표가 23일 차기 국무총리로 전격 발탁되면서 새누리당은 조기 원내대표 경선이 불가피해졌다. 특히 새 원내대표가 사실상 차기 총선을 책임져야 하는 만큼 그에 따른 여권의 권력지형도 한차례 요동을 칠 것으로 보인다.

새누리당의 당헌·당규는 ‘원내대표가 임기 중 사퇴 또는 사고로 인해 궐위된 때에는 동반 선출된 정책위의장은 당연 사퇴하고, 원내대표가 궐위된 날로부터 7일 이내에 원내대표 및 정책위의장 선출을 위한 선거를 의원총회에서 실시한다’고 명시돼 있다.

이에 따라 이 원내대표의 러닝메이트로 당선된 주호영 정책위의장은 물론 김재원 원내수석부대표와 원내대변인 등 원내지도부 전원이 사퇴해야 한다.

이 원내대표가 이날 기자들과 만나 “오늘로 원내대표직을 사퇴한다”고 밝힘에 따라 차기 원내대표 선출을 위한 의원총회는 늦어도 29일에는 치러져야 한다. 즉, 이날로부터 일주일 내 새누리당의 새 원내사령탑이 선출된다는 것이다.

다만 갑작스런 총리 발탁으로 원내대표 경선 일정이 촉박해진 만큼 이 원내대표가 당 지도부와 공식 사퇴일을 조율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럴 경우 주 정책위의장이 직무대행으로 원내대표직을 수행하고, 의원총회는 다소 미뤄질 가능성도 있다.

원내대표의 임기는 통상 선출일로부터 1년이다. 다만 제19대 국회 임기는 2016년 5월까지이기 때문에 임기가 끝날 때까지 원내대표직을 맡을 가능성이 크다. 새누리당의 당헌·당규에 ‘국회의원의 잔여임기가 6월 이내인 때에는 의원총회의 결정에 의해 국회의원 임기만료시까지 원내대표 및 정책위의장의 임기를 연장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후임 원내대표는 사실상 제20대 총선까지 임기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 제19대 국회의 마지막 집권여당 원내대표를 맡아 공천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구나 김무성 대표와 발을 맞춰 박근혜정부의 임기 3년차 국정과제 이행을 뒷받침해야 하는 막중한 책임감도 지게 된다.

이주영-유승민 양강 구도, 누가 승리하든 당내 권력구도 재편 가능성 높아

현재 당 안팎에서는 차기 원내대표 경쟁 구도에 대해 ‘친박계’ 이주영 의원과 ‘비박계’ 유숭민 의원의 양강 체제가 굳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이 의원은 세월호 참사 당시 해양수산부 장관을 지내면서 끝까지 진도 팽목항을 지켰다. 특히 유가족들에게 둘러싸인 상황에서도 약 8시간가량 진심을 담은 대화로 화해를 이끌어 낸 장면은 인터넷으로 생중계되면서 깊은 인상을 남겼다. 이미 두차례 원내대표 경선에 출마했다가 좌절한 경험이 있기 때문에 ‘삼수’에 대한 동정표도 무시할 수 없다는 게 당내의 관측이다.

유 의원은 박 대통령의 당 대표 시절 비서실장을 맡은 ‘원조 친박’이다. 하지만 박 대통령과의 거리가 멀어지면서 스스로를 ‘짤박(짤린 친박)’이라고 부르고 있다. 비서실장 시절부터 할 말은 했던 유 의원은 최근에도 청와대와 친박계를 향해 거침없는 쓴소리를 던지면서 당내 쇄신·소장파들로부터 지지를 받고 있다.

문제는 지역이다. 현재 당 3역(대표최고위원, 원내대표, 사무총장) 중 김무성 대표는 부산, 이군현 사무총장은 경남을 연고지로 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이 의원(경남 마산)과 유 의원(대구 동구) 중 누가 선출되더라도 당 3역이 모두 영남권 출신 인사로 채워지게 된다.

더구나 19대 국회 들어 선출된 3명의 원내대표 가운데 2명이 영남권 인사였다는 점을 감안할 때 총선을 앞둔 상황에서 ‘집권여당인 새누리당은 전국당이 아닌 영남당’이라는 이미지가 씌워질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당내 일각에서 제기되는 게 ‘수도권 원내대표론’이다. 총선을 앞두고 선거구 재획정이 진행될 경우 현 소선거구제가 유지되면 수도권에서는 10개 이상의 지역구가 늘어날 수 있다. 상대적으로 수도권의 비중이 더욱 커지게 되는 셈이다. 이에 따라 총선의 최대 승부처가 될 수도권에서 원내대표를 맡아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와 함께 최근 수면 아래로 가라앉은 계파간 갈등이 원내대표 경선을 계기로 다시 불거질 수도 있다.

현재 친박계 측에서는 이주영-홍문종 의원의 출마가 유력시되고 있다. 비박계에서는 유 의원으로 표가 모아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두 의원이 모두 출마할 경우 자칫하면 친박계의 표가 분산될 수도 있다. 친박계의 승리를 위해 단일화가 이뤄질지가 관심사다.

또 새누리당 원내대표 경선은 1차 경선에서 과반 득표자가 나오지 않을 경우 결선투표를 하게 돼 자연스레 계파간 대결 양상으로 흐를 가능성이 높다. 내년 총선을 앞두고 마지막으로 세력을 점검하는 측면도 있기 때문에 결과에 따라 당내 계파구도가 급격히 재편될 수도 있다.

새누리당의 한 당직자는 이날 ‘데일리안’과 만나 “차기 원내대표가 다가올 총선의 공천에 영향을 미치는 만큼 계파간 물밑 작업도 분주하게 이뤄지고 있을 것”이라며 “누가 되든 당내 권력 구도에 한차례 파문이 일어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조성완 기자 (csw44@naver.com)
기사 모아 보기 >
0
0
조성완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