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만년 유망주' LED조명, '삼중고'에 발목


입력 2014.11.01 17:11 수정 2014.11.01 17:31        남궁민관 기자

전자업계 차세대 성장동력 꼽혀온 LED 조명 개화 늦어져

선점 업체 '진입장벽'·중국 저가 공세·제도에 묶여 제자리 걸음

삼성전자의 LED 조명.ⓒ데일리안DB 삼성전자의 LED 조명.ⓒ데일리안DB

전자업계에서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꼽혀왔던 발광다이오드(LED)조명 시장의 개화가 '삼중고'에 시달리며 '만년 유망주' 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LED 조명을 5대 신수종 사업으로 선정했던 삼성전자는 해외 LED 조명 세트(완성품) 시장 철수를 선언했고 LG전자, 포스코 LED 등도 차별화 전략으로 해외 시장 공략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최근 북미와 유럽 등 해외 시장에서 LED조명의 영업을 중단하기로 했다. 이같은 결정은 유럽 등 선진시장의 진입장벽이 높은 데다가 최근 중국 기업들의 대규모 저가 제품들이 몰려들어 수익성이 떨어진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LED 조명 시장은 전세계적으로 백열전구 사용을 금지하고 LED조명으로 대체하려는 움직임이 이어지면서 조명업계에서 성장동력으로 꼽여왔다.LED 조명의 소비전력이 백열전구에 비해 10% 수준에 불과하고 수명은 50배 이상 길기 때문이다.

때문에 시장조사기관 스트래티지언리미티드(SU)은 LED 조명시장이 지난 2012년 37억4500만달러 규모에서 2017년 99억6100만달러로 166% 성장할 것이라고 예상하기도 했다. 또 컨설팅업체 맥킨지도 LED 조명 점유율이 2011년 12%에서 2016년 41%까지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장밋빛 전망'에도 불구하고 국내 주요 LED 조명 업체들의 상황은 좀처럼 나아지지 않고 있다. 업계에서는 향후 LED 조명 시장이 성장한다는 점은 확신하면서도 국내 업체들이 확실한 성과를 드러내기까지는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호소하는 현재 국내 LED 조명 업체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을 세 가지로 요약된다.

먼저 유럽 등 선진시장을 선점하고 있는 글로벌 기업들로 인한 진입장벽이다. 현재 전세계 LED 조명 시장은 오스람을 비롯해 필립스, 제너럴일렉트릭(GE) 등이 쥐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이들 기업들은 글로벌 시장뿐만 아니라 국내 LED 조명 시장에서도 60~70%(소매기준)를 차지하고 있다.

이와 함께 저가 제품들 앞세운 중국 기업들의 물량 공세 또한 만만치 않다. 일부 업계에서는 이같은 중국 저가 제품들의 공세가 삼성전자의 LED 조명 철수의 주요 원인으로 꼽을 정도다.

한 업계 관계자는 "삼성전자의 가장 큰 장점은 공급망관리(SCM)인데 중국 기업들이 저가의 가격과 대규모 물량으로 몰아붙이는 상황에서 장점을 발휘하기 쉽지 않았을 것"이라며 "또 전세계적으로 상당히 기술 평준화가 이루어진 상황이라 이같은 중국 업체들의 공세에 다들 힘들어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와 같이 글로벌 시장에서 겪는 어려움과 함께 국내 정책까지도 국내 업체들의 발목을 잡고 있는 상황이다. 국내에서는 동반성장위원회가 중소기업 보호를 목적으로 '중소기업 적합업종'을 지정하고 있으며 LED조명 시장 역시 이같은 정책에 묶여 있는 상황이다.

대기업으로부터 중소기업을 보호하려는 취지에서 대부분의 업체는 '중소기업 적합업종'에 동의하는 분위기다. 하지만 이같은 기본 취지를 지키는 동시에 국내 기업들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는 규제의 범위에 대한 조정이 필요하다는 데에는 한 목소리를 내고 있는 상황이다. 앞서 국내 LED 조명 시장의 대부분을 글로벌 기업들이 쥐고 있다는 점에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나올 수밖에 없다.

특히 이같은 국내 LED 조명 시장 내 규제가 국내 기업들의 기술 경쟁력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점이다. 선진 시장의 진입장벽을 넘기 위해서는 LED 조명과 관련된 기술력을 선보일 만한 기회가 필요한데 당장 국내시장에서는 이같은 기회조차 없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LED 조명 사업의 경우 단순히 제품 하나를 만들어 파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이를 운영하는 솔루션 기술에서 수익이 나오는 구조"라며 "문제는 현재 이같은 솔루션 시장을 선점하고 있는 기업들은 모두 해외 기업들"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같은 해외 기업들의 장벽을 뚫기 위해서는 국내 기업들이 기술적으로 절대 우위에 있다는 것을 보여줘야하는데 중소기업 적합업종이라는 제도에 묶여 국내 시장에서 조차 이를 보여줄 기회가 없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관련업계와 전문가들은 지금과 같은 일방적인 규제보다는 정부 발주의 공공 시장에서는 이같은 제도를 유지하되 민간 시장에서는 대기업들도 경쟁에 나설 수 있도록 열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국내 LED 조명 시장과 관련한 '중소기업 적합업종'은 올해 말일인 12월 31일 기준으로 만료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동반성장위원회는 빠르면 이번 달 내 LED조명과 관련한 '중소기업 적합업종' 재선정에 들어가게 된다. 업계의 시각이 동반성장위원회로 쏠리고 있다.

남궁민관 기자 (kunggija@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남궁민관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