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교육격차 심한 북한 "김일성대 보내려면 사교육"


입력 2014.10.31 11:44 수정 2014.10.31 11:52        목용재 기자

'통일시대를 여는 신개념 교육' 학술심포지엄 열려

"시장화로 교육분야에서도 사적 이익 추구하는 현상 확산"

평양의 제4초등학교에서 새로 입학한 1학년 어린이들이 꽃다발을 들고 교정에서 부모, 선생님들과 함께하고 있다.ⓒ연합뉴스 평양의 제4초등학교에서 새로 입학한 1학년 어린이들이 꽃다발을 들고 교정에서 부모, 선생님들과 함께하고 있다.ⓒ연합뉴스

“나는 교원생활을 하면서 점심시간, 퇴근후, 주말, 방학 시간을 이용하여 영어 과외를 지도했다. 나는 부모의 성의대로 받았다.”

“고난의 행군을 겪고 나서 사교육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특히 영어와 중국어에 많은 힘을 넣고 있으며 이전에는 예체능에만 사교육을 받았으나 최근에는 대학 진학을 위한 사교육이 늘어나고 있다.”


북한에서 부유층을 중심으로 사교육이 성행하고 있어 교육격차가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 당국 차원에서 평양 등 주요 도시지역만을 지원하고 여기에 이른바 ‘엘리트 학부모’들의 교육열이 더해져 나타나고 있는 현상으로 분석된다.

한만길 한국교육개발원 석좌연구위원은 31일 북한이탈주민학회·서울사이버대 미래사회연구소가 공동 주최한 ‘통일시대를 여는 신개념 교육: 블렌디드러닝을 중심으로’라는 제하의 학술 심포지엄에 발제자로 참여해 “평양을 비롯한 대도시에서 부유층을 중심으로 사교육이 성행하고 있어 교육격차가 심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한 위원에 따르면 현재 북한은 ‘선택과 집중’의 교육 정책을 펼치고 있다. 평양을 비롯한 도시지역에 과학기술·정보통신 분야의 우수한 인재 육성을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으면서도 지방, 농촌, 산간벽지 학교는 방치해두고 있는 상황이다.

한 연구위원은 “제 1중학교를 졸업해야 평양의 중앙대학에 진학하기 용이하며 김일성종합대학을 비롯해 중앙대학을 졸업해야 당간부를 비롯, 북한 지도층으로 편입될 가능성이 있다”면서 “여기에 북한 교원들이 사교육을 생계 유지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부유층을 중심으로 개인지도 형태의 사교육이 성행하면서 교원들은 중요한 생계 수단을 확보하게 됐다”면서 “탈북자들의 증언에 따르면 이공계 대학의 겨우 교원의 절반정도가 교직과 개인지도를 병행하고 있다. 대도시에서는 개인지도를 받는 학생이 20~30%”라고 말했다.

하지만 부유층 자제의 과외 수업을 따내지 못한 교원의 경우에는 식량 배급이 중단되면서 장사, 무역, 약초와 나물 채취, 소규모 텃밭개간 등을 통해 생게를 이어가고 있다. 이러한 노동에는 학생이 동원되는 경우도 상당수다.

북한 당국의 학교에 대한 지원이 끊기면서 학교 차원에서도 교직원을 동원, 상거래와 무역을 공공연히 독려하는 자구책을 마련하기도 한다. 학교농장을 통해 생산물을 학교 운영에 조달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 연구위원은 “북한은 지난 1990년 초부터 경제침체와 식량부족이 지속되면서 교육환경이 전반적으로 열악한 형편”이라면서 “북한은 교과서 용지, 학용품, 교육기자재 등 기초적인 교육물자가 부족하다”고 말했다.

이어 한 연구위원은 “한 탈북자에 따르면 교과서가 모라자서 시험을 치고 결과에 따라 1등부터 교과서를 주고 있다. 그러자 한생들이 저마자지지 않으려고 열심히 공부하는 모습을 보였다는 증언도 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한 연구위원은 북한의 ‘시장화’도 사교육 확대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진단을 내놨다.

그는 “탈북자 조사결과 북에 있을 때 자녀교육에 대한 지출비율이 22.7%를 차지하고 있었다”면서 “(시장화로 인해) 교육분야에서도 사적 이익을 추구하는 현상이 확산되고 있다”고 말했다.

목용재 기자 (morkka@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목용재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