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D램 순풍 탄 SK하이닉스… 넘어야 할 '파도'는?


입력 2014.04.20 15:38 수정 2014.04.20 16:32        남궁민관 기자

사상 최대 실적 지난해 이어 올 1분기도 1조원대 영업익 기대

비메모리 진출·최태원 회장 부재 '걸림돌'… 日업체 견제도 이어질 듯

SK하이닉스가 세계최초로 개발한 128GB DDR4 모듈.ⓒSK하이닉스 SK하이닉스가 세계최초로 개발한 128GB DDR4 모듈.ⓒSK하이닉스

지난 2012년 SK그룹에 인수된지 2년을 맞이한 SK하이닉스 지난해 창립 30년만에 사상 최대 실적을 거두며 본격적인 성장궤도에 진입했다. 인수 당시 주변 업계의 우려를 한몸에 받았던 만큼 이와 같은 SK하이닉스의 성장세는 눈부시다.

올해 역시 증권가 및 반도체 업계에서는 SK하이닉스의 고속 성장을 점치고 있다. 당장 오는 24일 공개될 올 1분기 실적에서도 1조원 이상의 영업이익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하지만 해결해야할 숙제가 없는 것은 아니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SK하이닉스는 고속 성장 속에서도 비주력 사업의 강화와 도시바와의 기술 유출 관련 손해배상 소송 문제 등 해결해야할 여러 숙제들 앞에 놓였다.

특히 그룹 오너인 최태원 회장이 최근 구속되면서 '총수 부재'의 악재도 겹친 상황이다. 이에 따라 지난달부터 단독으로 SK하이닉스의 대표이사직을 맡게 된 박성욱 사장의 어깨가 더욱 무거워질 전망이다.

증권가에서는 SK하이닉스의 올 1분기 실적 전망에서 영업이익 9700억원대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지난해 1분기 영업이익 3170억원에 3배에 달한다. 일부 증권업계 관계자들은 영업이익 1조원대를 돌파할 것이라는 긍정적인 전망도 내놓고 있는 상황이다.

이 같은 실적은 최근 메모리 반도체 D램의 호조세와 미국, 대만 등 해외 D램 시장에서의 실적 호조 등을 통해 가능했다.

하지만 이 같은 D램의 호조세에도 SK하이닉스의 고민은 깊다. 지난해 전세계 D램 시장점유율은 36.2%로 1위를 차지한 삼성전자에 이어 26.8%로 세계 2위를 차지했지만 시스템 반도체 등 전체 반도체 시장의 70% 이상 차지하는 비메모리 분야에서는 존재감이 거의 없다.

박성욱 SK하이닉스 사장.ⓒSK하이닉스 박성욱 SK하이닉스 사장.ⓒSK하이닉스
실제로 박 사장은 지난 2월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세미컨2014에 참석해 "시스템반도체 사업에 본격적으로 나설 것"이라고 밝힌 바 있으며 정기 주주총회에서도 "종합 반도체 회사로 거듭나기 위해 비메모리 사업의 역량을 단계적으로 확보해 나가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이에 따라 SK하이닉스는 지난달 CMOS이미지센서(CIS) 개발 전문업체 실리콘화일을 100% 자회사로 인수하며 시스템 반도체 시장에 본격적으로 발을 들여놓았다. 이어 삼성전자에서 비메모리 반도체 사업을 이끌었던 임형규 전 사장과 서광벽 전 부사장을 본격 영입하며 포부를 드러내기도 했다.

하지만 정작 비메모리 반도체 사업 진출을 선언한 이후 뚜렷한 사업 방향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다. 확보된 기술력이 확보되지 않은 상태에서 최 회장의 구속으로 인수합병(M&A)조차 쉽지 않은 상황이기 때문이다.

때문에 일단 당장은 비메모리 반도체 분야의 사업 방향 구상에 대한 지속적인 논의가 신중하게 진행될 전망이다. 또 일부 업계에서 예상하고 있는 시스템 반도체인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진출 등은 당분간 없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주주총회에서 박 사장은 "올해 수익성에 우선 순위를 둔 경영을 지속 추진할 것"이라면서도 "올해 투자는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것이며 불확실한 경영환경이 이어져 분기별로 투자규모를 결정할 것"이라고 조심스러운 태도를 보이기도 했다.

이외에도 도시바와 샌디스크 등 일본 기업들의 소송 역시 장기적으로 SK하이닉스를 괴롭힐 것으로 보인다.

앞서 지난달 샌디스크는 미국 법원에 SK하이닉스가 자사 기술을 유출했다며 낸드 플래시 메모리 판매 금지 요구와 손해배상을 청구했다. 또 도시바도 자사 낸드플래시 메모리 기술을 취득해 1000억엔(약 1조530억원)이 넘는 손실이 있었다며 일본 도쿄지방법원에 SK하이닉스를 제소했다.

업계 관계자는 "이 같은 기술 유출 관련 소송은 빠른 시간 내에 해결하기 힘들어 장기화될 가능성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남궁민관 기자 (kunggija@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남궁민관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