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용산개발이 서울시장 선거의 핫이슈인 이유는


입력 2014.03.20 14:11 수정 2014.03.21 16:34        이상휘 기자

<칼럼>자잘하고 유치한 논쟁보다 미래지향적 방향 제시를

서울에 용산이라는 지역이 있다. 참으로 사연이 많은 곳이다. 한강의 뻘이 퇴적되어 만들어진 땅이다. 그래서 옛 이름이 부원이라고 한다. 기름진 들판이라는 뜻이다.

대대로 외국인과 군인들이 모여 살았던 곳이기도 하다. 고려때는 거란족과 여진족이 집단으로 살았다. 귀화한 사람들이었는데, 주로 홍차를 가꾸어 먹고 살게 했다고 한다.

이태원이 만들어진 유래도 있다. 역시 외국인들 때문이다. 임진왜란 당시 포로로 잡힌 왜인들이 살았기 때문이다. 당시 조정에서 주도한 이주정책이었다. 이 때문에 이타촌이라고 불렀다. 이태원의 효시인 것이다.

군사적인 관계도 유래가 깊다. 우선 군 전략상 지형적으로 요충지다. 서울도성이 열려있는 유일한 저지대가 용산이다. 병참기지로도 중요했다. 한강 물길을 이용해 군량을 수급했기 때문이다. 임진왜란 때에는 일본 소서행장의 부대가 주둔했다. 조선말기 임오군란의 오장경 부대도 이곳에 머물렀다. 청일전쟁과 노일전쟁 당시도 일본군의 사령부가 주둔했다.

결국, 지금까지다.

백제 기루왕 때, 한강에서 두 마리의 용이 나타났다고 해서 용산이기도 하다. 전설과 역사가 공존하는 땅인 것이다. 이곳 용산이 다시 화제에 오를 전망이다. 용산미군기지에 이어서다.

용산역 개발과 관련해서다. 2009년 몇사람을 죽음으로 몰고갔던 일이기도 하다. 이른바, 용산사태를 촉발한 사건이다. 지난해 결국 이 사업은 무산되었다. 천문학적 경제손실과 피해자가 양산되었다. 책임에 대한 소재 규명은 아직 되지 않았다.

뜨거운 감자인 셈이다. 여진이 아직도 진행형이기 때문이다. 어떻게 해결하는 것이 옳은 것인지, 방법은 무엇인지, 현답을 찾기가 애매하다. 서울시장 선거가 코앞으로 다가왔다. 후보들로서는 피할 수 없는 문제다. 소신있는 해법을 내놓아야 할 사안이다. 피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기 때문이다.

경기도는 무상버스가 논란이 되고 있다. 유권자들이 어떤 판단을 할지 모를 일이다. 그러나 경기도의 무상버스와 용산개발 문제는 좀 다르다. 무상버스는 새로운 정책의 제안이다. 실현가능성만 따지면 된다. 포퓰리즘이라고 판단하면 지지하지 않으면 된다.

용산개발문제와는 본질적으로 다른 의미다. 새로운 것이 아니라, 진행형이기 때문이다. 행정적으로는 종결이다.

중요한 것은 종결에 대한 마무리를 누가, 어떤 방법으로 하느냐인 것이다. 다시 재추진할 수도 있고, 완전 백지화로 돌릴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발생되는 여론의 폭발성은 크다. 지지도에 영향을 줄 것이 자명하다.

이 때문일까. 용산문제가 서울시장 선거의 화두가 될 조짐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현재까지 후보들의 입장은 두루뭉술하다. 적극적이지도, 방관적이지도 않다. 원론적인 입장 수준이다. 그러나 정책공약에서는 반드시 대결해야할 사안이다. 가장 뜨거운 이슈될 것이 자명하기 때문이다.

31조원 규모의 개발계획, 서울시와 코레일의 합작사업, 자금난으로 중단, 그리고 도시개발구역 지정해제의 상황이 된 용산이다.

정책의 방향성을 분명하게 보여야 한다. 사업재개를 할려면 어떻게 할 것인지, 그 시점은 언제인지, 시장의 유동자금을 어떤 방법으로 조달한 것인지 등등을 구체적으로 밝혀야 할 것이다.

그것이 서울시장 후보들이 고민해야 할 사안이다. 자잘하고 유치한 논쟁은 격이 떨어진다. 발전적이고 보다 미래지향적인 방향을 제시해야 한다는 말이다. 용산개발에 대한 후보들의 입장, 이번 서울시장 선거의 향방을 가늠하는 키워드인 셈이다.

두 마리의 용이 나타났다는 용산, 그리고 서울의 가장 비옥했던 땅이며 역사적 고난이 그대로 녹아있는 그곳이 용산이다. 어쩌면 서울의 미래가 걸려 있는 곳일지도 모를 일이다. 제대로 된 정책대결을 기대해 본다.

이상휘 기자 (shonle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이상휘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